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뱅킹이 발달하면서 은행 앱으로 계좌 잔액은 물론 거래내역 확인, 이체까지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됐지만 해킹의 위험도 증가하면서 안전한 계좌를 찾는 이들이 시크릿 계좌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결혼 후 용돈이 부족한 직장인들이 배우자 몰래 비상금 계좌로 활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또한 급한 돈이 필요할 때 적금이나 예금을 해지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시크릿 계좌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시크릿 계좌는 2007년 금융보안을 목적으로 출시된 서비스입니다. ‘스텔스 통장’이라고도 불리는데요. 적군의 레이더망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전투기와 비슷하다 해서 스텔스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즉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이 안되기 때문에 예금주가 직접 은행 창구를 방문해야만 입출금 등의 업무를 할 수가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시크릿 계좌를 만드는 방법은 일반 계좌와 같습니다. 은행 영업점 창구를 방문해 계좌를 개설하면 됩니다.
이 비밀 계좌는 다른 사람이 공인인증서를 가지고 있거나 비밀번호를 알고 있어도 계좌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아 돈을 인출할 수 없는 것이 장점입니다.
다만 인터넷·모바일뱅킹이 되지 않아 영업점에 직접 방문해야 하고, 휴면예금 찾기 서비스나 자동이체 등록 정보 통합 조회 서비스 등에서도 계좌가 드러나지 않습니다. 때문에 계좌가 조회되지 않아 휴면 계좌로 남을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확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시크릿 계좌는 현재 우리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에서 방문 개설이 가능합니다. 기존 계좌를 시크릿 계좌로 전환할 수도 있습니다.
은행마다 다르지만 △단순한 계좌 숨기기 △비대면 금융 모두 차단하기 △본인 외 거래 절대 불가 등 보안 단계를 설정해두고 있어 자신이 원하는 단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