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KB금융지주는 퇴직연금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산관리(WM) 부문 아래 연금본부와 연금기획부를 신설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연금본부가 연금사업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하며, 그룹 전체 연금고객에 대한 사후관리, 은퇴·노후 서비스, 각종 부가서비스 등을 강화해 나간다는 것이 골자다.
또 그룹 내 연금사업 비중이 높은 KB국민은행은 연금사업부를 연금사업본부로 격상하고, 본부 산하에 연금기획부와 연금사업부를 두는 개편작업을 마무리했다. 연금기획부는 서비스 기획과 연금고객 사후관리 업무 등을 담당하며, 연금사업부는 마케팅과 컨설팅 업무를 맡는다. 계열사인 KB증권과 KB손해보험도 기존 연금사업 조직에서 연금기획부를 신설하고, 지주-은행-증권-손해보험 4사 겸직체계로 운영해 나갈 예정이다.
퇴직연금사업 역량강화는 신한금융이 먼저 불을 지폈다. 지난 4월 '매트릭스 조직'을 퇴직연금 부문에 도입하는 등 대대적인 개편작업을 단행했다. 매트릭스는 각 계열사의 공통된 사업 부문을 하나로 묶어 관리하는 수평적 조직을 말한다. 신한금융은 은행·금융투자·생명에서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퇴직연금 조직을 그룹 차원의 퇴직연금 사업부문으로 통합했다.
이를 위해 KB금융과 신한지주는 그룹 내 투자은행(IB)부문과 증권, 손해보험 등 계열사가 협업하는 형태로 수익률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KEB하나은행은 지난 1월 은행권 최초로 연금사업본부를 신설해 연금 시장에 대한 인적‧시스템적 자원을 집중했다. 우리금융지주의 경우 현재 은행이 중심인 반면, 비은행 사업분야를 확대해 나가고 있어 현재까지는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금융지주 회장들이 수수료가 아닌 수익률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은행과 금융투자 등 계열사 간 협업이 중요해져 조직 개편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 말 기준 퇴직연금 시장 1위 사업자는 삼성생명(적립금 24조6000억원)이며, 금융그룹은 신한금융(22조1000억원)과 KB금융(21조7000억원) 순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