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체감경기 개선세 석 달 만에 '스톱'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양성모 기자
입력 2019-05-29 07:5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기업들의 체감경기 상승세가 석 달 만에 멈췄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19년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이달 전체 산업의 업황 BSI는 지난달보다 1포인트 하락한 73으로 나타났다.

업황 BSI란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지수화한 것이다. 이 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밑돌면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전 산업 업황 BSI는 올해 1월 69까지 빠졌다가 상승세를 나타내며 4월 74까지 올랐으나 이달 반락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업황 BSI는 1포인트 상승해 76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자·영상·통신장비(81)가 9포인트 올랐다.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수출여건이 개선된 데다 신규 휴대폰 수요가 증가한 영향을 받았다.

반면 정제마진이 줄면서 석유정제·코크스(64)가 19포인트 빠졌고, 미중 무역분쟁 재점화에 따른 수요 감소 우려에 화학물질·제품(86)이 6포인트 하락했다.

대기업 업황 BSI는 82로 한 달 전보다 1포인트 올랐고, 중소기업은 69로 전월과 같았다. 형태별로는 수출기업(83)에서 2포인트 상승했으나 내수기업(71)은 1포인트 내렸다.

한은 관계자는 “휴대폰 등 전자·영상·통신장비 업종에서 BSI 지수가 오르며 수출업체 업황 BSI도 상승했다”며 “이 업종에는 수출기업이 많다”고 설명했다.

제조업과 달리 비제조업 업황 BSI는 71로 3포인트 하락했다. 광고 대행과 건설 엔지니어링 수요가 줄어든 영향으로 전문·과학·기술(69)에서 11포인트 하락했다. 신규 분양 감소, 부동산 개발 수요 부진 영향으로 부동산업(61)도 10포인트 내렸다.

다음 달 전체 산업 업황 전망지수는 73으로 4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 업황 전망 BSI는 2포인트 내린 75를 기록했다. 신차 판매 증가로 자동차(75)가 2포인트 오른 반면 건설, 디스플레이 등 전방 산업 부진에 수요 부진까지 겹쳐 비금속광물(62)은 10포인트, 1차금속(72)도 3포인트 하락했다.

비제조업 업황 전망 BSI(72)는 5포인트 빠졌다. 도매·소매(68)에서 6포인트 하락하며 낙폭이 컸다. 산업재를 다루는 도매업체들이 환율이 상승에 따른 유통물량 감소를 우려한 것으로 조사됐다.

건설업(66)은 건설 실적과 주택 수주가 부진한 영향으로 4포인트 내렸다.

기업 심리와 소비자심리가 모두 나빠지면서 BSI에 소비자 동향지수(CSI)를 합쳐 산출한 경제 심리지수(ESI)는 3.7포인트 하락한 91.6을 나타냈다.
 

[사진 = 아주경제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