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 따르면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한강, 낙동강 발원지에서 9종의 미기록종을 포함한 돌말류 38종이 확인됐다.
돌말류는 물속을 떠다니거나 돌이나 생물체 표면에 붙어사는 미세조류로,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한다. 미기록종은 다른 나라에는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됐지만 국내에서는 발견된 적 없는 생물 종이다.
그 결과 한강 발원지인 검룡소에서 중국 남쪽 카르스트 지역의 오염되지 않은 호수나 연못에만 산다고 보고된 '에드테리오티아 구이조이아나'(Edtheriotia guizhoiana)를 비롯한 7종을 발견했다.
낙동강 발원지인 너덜샘에서는 시베리아, 알래스카, 아이슬란드 등의 고도가 높고 수온이 낮은 산지 하천이나 호수에 널리 서식한다고 알려진 '프라질라리아 레카피텔라타'(Fragilaria recapitellata) 등 2종을 확인했다.
생물자원관은 돌말류 38종을 국제전문학술지 파이토택사(Phytotaxa) 5월호에 게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