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 아파트, 30년 된 아파트보다 난방사용량 43% 줄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노경조 기자
입력 2019-05-29 14: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제공=국토교통부]


최근 지은 아파트가 30년 전 지어진 아파트보다 난방에너지를 40% 이상 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열 기준 강화,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 등의 제도 도입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기준 주거용 건물(단독·다중·다가구·아파트·연립·다세대) 에너지 사용량은 총 1935만9000TOE(석유환산톤)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시도별로는 경기(27%), 서울(22%)이 전국 에너지 사용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이 지역의 건물 연면적 비중(43%)을 고려할 때 전국 평균보다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셈이다.

주택 유형별로 아파트(59%)의 에너지 사용량이 단독주택(15%), 다가구주택(14%)을 크게 웃돌았다. 하지만 아파트 연면적 비중(64%)보다는 에너지 비중이 작았다. 옆 가구와 붙어있는 아파트의 구조적 특성과 높은 지역난방 비율 등의 영향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에너지원 중에는 도시가스(54%) 사용량이 전체 에너지의 절반을 넘었다. 이어 전기(37%), 지역난방(9%)의 순이었다.

30년 전 사용 승인(1985∼1987년)된 아파트와 최근(2015∼2017년) 사용 승인된 아파트의 단위면적당 난방 사용량을 비교하면 최신 아파트(2.82 1/1000×TOE/㎡)가 30년 전 아파트(4.97 1/1000×TOE/㎡)보다 43%나 적었다. 단독주택도 최근 지어진 것이 낡은 주택보다 난방에너지를 31% 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가 지속해서 추진한 단열기준 강화 등에 따라 난방 사용량이 줄어든 것”이라고 전했다.

2001년 도입된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도 에너지 절감에 효과가 있었다. 2001년 이후 인증받은 아파트(2.97 1/1000×TOE/㎡)는 미인증 아파트(3.83 1/1000×TOE/㎡)보다 난방에너지 사용량이 22% 적었다.

인증제 도입 전후 아파트를 비교해도 먼저 지어진 아파트(4.01 1/1000×TOE/㎡)의 사용량이 나중에 지어진 아파트(2.97 1/1000×TOE/㎡)보다 26% 많았다.

국토부의 주거용 건물에너지 사용량 통계는 한국감정원이 운영하는 녹색 건축 포털(그린투게더) 내 건물에너지 통계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