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의 정밀도로지도의 구축을 위해서 민관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밀도로지도는 차량의 자율주행에 필요한 차선, 도로시설, 표지시설 등 정보를 정밀하고 정확하게 담고 있는 전자지도를 일컫는다.
올해 7월 시범사업을 앞두고 ‘자율주행용 정밀도로지도 민·관 공동구축체계’ 토론회가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렸다. 토론회에서는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정밀도로지도를 효율적으로 구축해나가기 위한 방안과 구체적인 공동구축체계의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박순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이 주최하고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토론회에는 박 위원장을 비롯해 김영진 국회의원, 김수상 국토교통부 자동차관리관, 서울시립대 최윤수 교수 및 관련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박순자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정밀도로지도를 정부 단독으로 구축할 경우 세계적인 기술개발 수준을 따라가기 어렵다. 그러나 민간이 지도를 구축하고 갱신한다면 중복투자로 인한 비효율이 크게 발생한다”고 민관 공동구축체계가 나오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민관이 협력하여 지도를 효율적으로 구축해나갈 공감대를 만들어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토론회에서 ‘정밀도로지도 기술개발 현황’을 발표한 최현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은 “MOU는 체결됐고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가 중요하다”며 “이제 어디에 무게 중심을 둘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예산은 누가 마련할 것인지, 활용 분야는 어떻게 할 것인지, 제도와 표준은 어떻게 정할 것인지 다듬어가야 할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토론 패널로 참여한 이하준 국토지리정보원 지리정보과장은 “도로지도가 자율주행을 위한 지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국가적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가야 한다”고 말했다.
공동구축체계의 세부추진방안은 올해 하반기 시범사업 시행 후 민간사 요구사항 등을 반영해 내년 6월 경 마련할 예정이다. 공식적인 정밀도로지도 공동구축체계 출범은 20년 하반기로 예정돼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