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정원 관권선거 의혹 대책위원회’ 회의에서 “하노이회담과 관련해 북한 내 숙청이 있었다는 보도가 있는데 국정원장이 해야 할 일은 이러한 대북정보를 빨리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이 민감한 시기에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이나 만나는 것을 보면서 과연 국정원장이 본연의 업무를 하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정원장은 대북정책 실패에 대해 책임지고 물러났어도 몇 번은 물러났어야 할 사람”이라며 “국내정치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위반한 만큼 당연히 사퇴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나 원내대표는 한미정상 통화내용 유출 건으로 외교관이 파면된 것과 관련해서도 “문재인 정권은 공무원 사회에 ‘야당 기피령’을 내린 것”이라며 “야당과 말을 섞는 공무원은 절대 가만 놔두지 않겠다는 것이며, 공개 처형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도읍 의원은 “서 원장, 양원장, 김현경 기자는 신북풍몰이 등 관권선거를 획책하려다 발각된 것”이라며 “문 대통령의 복심인 양정철이 돌아오자마자 벌어진 일련의 과정들은 우연이라고 볼 수 없다. 좌파정권 100년 시나리오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만희 의원은 국정원장과 민주연구원장의 회동과 관련해 “특히 국정원장은 대통령과도 독대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날 서 원장은 양 원장과 최소한 50분간 독대한 것으로 보인다”며 “서 원장은 다른 정치인과 회동한 사실이 있다고 하는데 전면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은재 의원도 “국정원장의 처신은 대공·대테러 등 보안정보 수집 시 국내정보도 얼마든지 취득할 수 있다. 국내정치에 개입할 수 있다는 가이드라인을 보여준 것”이라며 “국정원장과 여당 총선전략 책임자, 북한 전문 기자가 만난 그 자리에서 총선용 북풍을 논의했을 것이라는 의심은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이채익 의원은 “지난해 6월 지방선거 당시 황운하 울산지방경찰청장의 선거개입 의혹과 이번 서훈·양정철 회동 의혹은 너무나 판박이”라며 “대통령은 즉각 국정원장을 해임조치하고 여당 인사와 사정 기관의 만남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국정원 관권선거 의혹 대책위에서 발언하는 나경원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3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정원 관권선거 의혹 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