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진료를 받지 못한 ‘미충족치료필요율’은 경제상태가 ‘하’인 집단이 ‘상’보다 절반 이상 낮았다.
보건복지부가 2일 발표한 ‘2018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12세 아동 절반 이상인 56.4%는 영구치 충치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세 아동이 경험한 평균 충치는 1.84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평균(1.2개)보다 많았다. 미국(0.4개)과 일본(0.8개) 등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유디치과]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는 아동‧청소년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의식을 파악하기 위해 2000년부터 3년 마다 진행된다. 올해는 5세 및 12세 4만1670명을 대상으로 직접 구강검진을 실시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치아 면에 있는 좁은 틈을 메꾸어 충치를 예방하는 시술인 ‘치아홈메우기’는 12세 아동의 60%가 받았다. 치료받은 영구치수는 평균 2.34개다. 치아홈메우기를 받은 아이들은 2006년엔 34%에 불과했지만, 2012년부터는 60%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잇몸건강을 알 수 있는 ‘치은탐침검사 시 출혈’은 12세 아동의 12.1%에서 확인됐다. ‘치은탐침검사’는 탐침을 잇몸에 삽입해 색이나 붓기 정도를 확인해 염증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치은탐침검사 시 출혈은 2000년 26.9%에서 지난해 절반 이상 줄었다. 치석 보유 비율 역시 2000년 26.8%에서 지난해 6.6%로 크게 감소했다.
12세 아동이 최근 1년 간 치과진료를 받은 비율은 71%로 조사됐다. 치과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함에도 진료를 받지 못한 ‘미충족치료필요율’은 15%로 집계됐다.
미충족치료필요율은 12세 아동의 경제상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경제상태가 ‘하’일수록 △영구치 우식 △치면열구전색 보유 △치주건강 등 조사한 모든 지표에서 구강건강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다.
경제상태가 ‘하’인 집단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긍정)은 30.5%로 나타났다. 반면, 경제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은 ‘상’ 집단 아이들의 절반 이상(51.4%)은 본인의 구강상태가 좋다고 느꼈다. 최근 1년간 미충족치료필요율도 상-하 집단 간 차이가 두배(12.5%-25.3%) 넘게 났다. 복지부 관계자는 “경제상태가 ‘하’인 집단에서 치아와 치주건강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고, 치아홈메우기 보유율과 치과의료 이용 접근성도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아이들이 평생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영구치가 완성되는 12세 전후에 구강검진 및 교육, 예방진료 등을 실시하는 ‘아동 치과주치의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권준욱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는 우리나라 구강보건실태와 지역 간 구강건강격차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사업으로, 향후 구강보건정책, 구강보건사업 및 연구분야 등에서의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