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해양경찰청(청장 조현배)에 따르면 2014~2018년 최근 5년간 중질유로 인한 해양 오염사고는 총 276건이며, 이 중 예인선과 유조부선의 사고건수가 32%(88건)를 차지했다.
이는 전국의 예인선·유조부선 1278척 중 선령이 30년 넘은 선박이 52%(667척)에 달하고, 선원 역시 총 8,033명 중 60세 이상이 54%(4,354명)를 차지하는 등 선체 노후와 선원 고령화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질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예인선과 유조부선의 사고로 기름이 해상에 유출될 경우 피해 규모가 크고 복구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2018년 12월 53톤급 예인선 침몰[사진=해양경찰청]
이에 따라 해양경찰청은 오는 10일부터 7월 19일까지 전국 예인선, 유조부선 등 1200여 척을 대상으로 해양오염예방 일제점검에 나선다.
중점 점검대상은 ▲예인선 연료탱크 넘침관 등 경보장치·잠수펌프 설치 여부 ▲해양오염방지검사증서 미교부 및 미검사 운항선박 ▲유조부선 안전관리 상태 및 오염물질 처리실태 점검 ▲기름작업 안전수칙·오염손해보장계약 확인 등이다.
임택수 해양오염방제국장은 “선박 관리자와 운항자들 스스로가 해양오염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깨끗한 해양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며 “선박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적법하게 처리해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