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조만간 남북과 북·미 간 대화가 재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핀란드를 국빈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헬싱키 대통령궁에서 열린 사울리 니니스퇴 대통령과 정상회담 직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어떻게 진행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하노이 회담이 합의 없이 끝났기에 대화 교착 상태가 아니냐는 염려가 있는 것으로 알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서로 간 신뢰와 대화 의지를 지속해서 표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이미 많은 진전을 이루고 있다"며 "2017년 11월 이후 지금까지 1년 6개월 이상 북핵 실험이나 중장거리 미사일 같이 국제 사회를 긴장시키는 도발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북·미 간에도 비핵화를 담판하는 사상 초유의 일이 일어나고 있다"며 "이미 두 차례 (북·미) 정상회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톱다운 방식에 여전히 신뢰를 보냈다. 문 대통령 '핀란드의 제3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 및 회담 주선 여부'를 묻자, "북·미 간 대화가 이뤄지고 있어 3국 주선이 필요한 상황은 아니다"라면서도 "혹시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핀란드에 도움을 청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니니스퇴 대통령은 "핀란드가 앞으로 유럽연합(EU) 이사회 의장국이 되면 어떻게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지지할 수 있을지 많은 논의를 할 것"이라며 "언제든 외교적 지원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화답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남북 및 북·미 간 대화 언급과 관련해 '최근 진전이 있다는 것인가, 원론적인 설명에 가깝다는 의미인가'라는 질문에 "후자에 좀 더 가까울 것"이라고 전했다.
두 정상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한·핀란드 간 협력을 스타트업 육성 교류 협력을 비롯해 4차 산업혁명 대응, 방산·에너지·보건 등도 논의했다.
양국은 이번 회담을 계기로 '부산·헬싱키 직항노선'을 내년 3월에 개설하기로 합의했다.
이 밖에도 △고령화 문제 대응 △성평등 증진 △일·가정 양립 △기후변화 대응 △지속가능발전 등 지역 및 세계적 과제 대응 △북극 관련 협력 방안 등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핀란드를 국빈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헬싱키 대통령궁에서 열린 사울리 니니스퇴 대통령과 정상회담 직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어떻게 진행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하노이 회담이 합의 없이 끝났기에 대화 교착 상태가 아니냐는 염려가 있는 것으로 알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서로 간 신뢰와 대화 의지를 지속해서 표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이미 많은 진전을 이루고 있다"며 "2017년 11월 이후 지금까지 1년 6개월 이상 북핵 실험이나 중장거리 미사일 같이 국제 사회를 긴장시키는 도발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톱다운 방식에 여전히 신뢰를 보냈다. 문 대통령 '핀란드의 제3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 및 회담 주선 여부'를 묻자, "북·미 간 대화가 이뤄지고 있어 3국 주선이 필요한 상황은 아니다"라면서도 "혹시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핀란드에 도움을 청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니니스퇴 대통령은 "핀란드가 앞으로 유럽연합(EU) 이사회 의장국이 되면 어떻게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지지할 수 있을지 많은 논의를 할 것"이라며 "언제든 외교적 지원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화답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남북 및 북·미 간 대화 언급과 관련해 '최근 진전이 있다는 것인가, 원론적인 설명에 가깝다는 의미인가'라는 질문에 "후자에 좀 더 가까울 것"이라고 전했다.
두 정상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한·핀란드 간 협력을 스타트업 육성 교류 협력을 비롯해 4차 산업혁명 대응, 방산·에너지·보건 등도 논의했다.
양국은 이번 회담을 계기로 '부산·헬싱키 직항노선'을 내년 3월에 개설하기로 합의했다.
이 밖에도 △고령화 문제 대응 △성평등 증진 △일·가정 양립 △기후변화 대응 △지속가능발전 등 지역 및 세계적 과제 대응 △북극 관련 협력 방안 등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