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등 외신들은 11일(현지시간) 미국 국무부가 이날 ‘에너지 자원 경영 계획’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놨다고 보도했다. 캐나다, 호주 등 세계 주요 국가들과 협력해 광물 관련 지식을 공유한다는 게 보고서의 골자다.
중국 희토류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중요 광물 공급망을 다각화하겠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전 세계 희토류 공급의 80% 이상이 한 나라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며 “제한된 공급망에만 의존하면 공급 차질 위험이 늘어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미국은 전 세계 주요 지역의 희토류 생산 확대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중국 정부가 네이멍구를 포함한 7개 희토류 생산 지역을 대상으로 전면적인 현황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나온 것이다.
해당 지역 정책자들은 희토류의 생산 목록과 규모, 자원 보호를 둘러싼 쟁점과 새롭게 개발 혹은 발굴 중인 자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와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
발개위는 각 생산 지역에 희토류와 그 밖에 전략 자원의 공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희토류는 자성과 광학적 특성을 가진 광물에서 찾을 수 있는 17개 희귀 원소를 일컫는다. 형광등에서 LED(발광다이오드), 스마트폰, 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 풍력터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쓰인다. 중국은 한때 전 세계 희토류 공급량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미국이 중국 희토류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 착안, 중국이 희토류를 미·중 무역전쟁 무기로 삼을 수 있다는 주장은 자주 거론돼 왔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이 생산한 희토류는 약 12만t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71%를 차지했다. 미국과 호주가 중국의 3분의1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뒤를 이었다. 미국은 최근 수입량의 5분의4를 중국에 의지한 채 수입량을 대거 늘려 왔다. 지난해에만 17%가량 늘었다.
앞서 미 상무부도 희토류 국내 생산 확대가 시급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은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미국에서 중대 광물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방정부는 전례 없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