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소고기와 한우는 품질에서 차이가 난다. 한우 농가 대부분이 마블링(근내지방)이 많은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평균 31개월간 키우는 고비용 사육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품질 차별화 성공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은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생산비 중 사료비 비중은 미국산 소고기보다 1.7배 높음에도 우리나라 소고기 자급률은 가격 경쟁과 수입 소고기 관세 인하 등으로 2013년 50.1%에서 2017년 41%로 떨어진 이유다.
이에 농진청은 한우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한우 사육 기간 단축부터 시작해, 송아지 생산량 증가, 고등급 육질을 위한 사육 방법 등을 개발해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지난해 농진청이 개발한 기술은 사육 단계마다 영양소 함량을 정밀 조절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우의 출하 기간을 31개월에서 28개월로 줄였다.
핵심 기술은 개량된 한우의 생산 특성을 고려해 육성기(6∼14개월)와 비육기(15∼28개월)에 단백질과 에너지 함량을 조절해주는 것.
이를 통해 생산된 한우는 기존의 장기 비육 한우와 비교해도 육량과 육질에 있어 손색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만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장은 "우리나라 평균 출하월령인 31.1개월 한우의 도체중과 근내지방도를 28개월 한우와 비교한 결과 비슷하게 나타났다"며 "맛 관련 물질 분석, 전문가 시식 평가에서도 28개월 한우는 단맛, 감칠맛, 풍미 면에서 31개월 한우와 차이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한우 1마리당 생산비를 23만5000원 정도 줄일 수 있다. 국내 거세 한우 전체에 적용하면 한 해에 936억원가량 생산비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한 소장은 "생산비가 줄어들면 소비자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한우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기술은 특허출원을 마쳤고, 산업체와 생산자 단체에 이전했다"고 설명했다.
◇거세 시기 조절해 육질 등급 높여…소득 3배 '껑충'
농진청은 한우의 사육 방법에 대해서도 보다 경제적인 방법을 밝혀냈다.
우리나라 수소의 경우 95.6%는 고급육 생산을 위해 6∼7개월령쯤 거세해 30개월까지 살을 찌워 키운다. 나머지 거세하지 않은 수소는 22개월에 출하해 육회용, 양념용 고기로 판매하는 구조다.
농진청은 이 구조를 개선, 수소 사육 기간과 생산비는 줄이면서도 소득은 기존과 비슷하게 얻을 수 있도록 거세 시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개발해 중등급 소고기(육질 1~2등급 내외의 소고기)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는 수소를 3그룹으로 나눠 진행됐다. 아예 거세를 하지 않은 수소, 12개월이 지나 반 거세(정소의 한쪽만 제거), 12개월 만기 거세로 나눠 비교했다.
연구 결과 12개월 이후 수소를 거세하고 25개월에 출하를 할 경우 고기의 등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 거세와 반 거세의 경우 만기 거세보다 출하무게는 늘었지만 육질 등급은 2~3등급에 머물렀다. 반면 만기 거세는 육질이 1~2등급으로 조사됐다.
한 소장은 "이 같은 결과에 따른 마리당 소득을 계산해보면 비 거세, 반 거세 수소의 경제성은 약 27만원, 87만원이었던 것에 비해 만기 거세 수소는 232만원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고기 주요 성분은 비 거세‧반 거세 수분, 단백질, 보수력 등이 만기 거세보다 높았다. 하지만 근내지방(결지방) 함량은 만기 거세가 더 높았다. 고기색 밝기와 맛을 좌우하는 연도(연한정도), 다즙성, 향미(맛과 향), 기호도, 단맛 등도 만기 거세가 비 거세‧반 거세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 번식 기술 도입…송아지 생산 1년 60마리
한우 번식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자연적으로 1년에 한 마리를 생산하는 송아지를 최대 60마리까지 늘릴 수 있게 됐다.
농진청이 개발한 첨단 번식 기술은 '생체 난자 흡입술(OPU)'. 음파 기계 장치로 살아있는 소의 난소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난자를 채취하는 기술로, 여러 개 난자를 동시에 채취함으로써 단기간에 우수한 수정란을 반복해 생산하는 장점이 있다.
기존 인공수정은 1년에 한 마리, 호르몬 처리를 해도 약 20마리에 불과하던 송아지 생산량을 약 60마리까지 늘릴 수 있다는 것이 농진청 설명이다.
나아가 이 기술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농진청은 암소가 고등급 난자를 생산하도록 개량해 한우 증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소장은 "OPU를 통해 채취한 난자 가운데 수정란 생산 비율은 2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며 "OPU를 통해 안정적인 수정란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기술은 지역 축산기술연구소 등 현장에서 많이 활용한다. 난자를 채취하는 소에 대한 지표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수정란이 필요한 암소 개량과 증식 사업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 소장은 "우수한 유전자를 가진 고능력 암소의 난자를 100% 활용하기 위해 주 2회 채란 방법을 활용하면 난자의 회수율 향상과 수정란 이식을 통한 암소 개량과 증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