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연은 25일 정부 과천청사에 브리핑을 갖고, 2018년 8월 칠레, 호주, 남아공 관측소에서 운영하는 지름 1.6m급 외계행성탐색시스템(이하 KMTNet,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망원경 3기로 최근 두 소행성을 검출했다고 발표했다.
6월 5일 발견된 지구위협소행성은 ‘2018 PP29’(이공일팔 피피 이구)라는 임시번호(provisional designation)가 부여됐다. 이에 앞서 3월 21일에 발견된 천체는 근지구소행성(NEA, Near Earth Asteroid)으로 분류, 임시번호 ‘2018 PM28’(이공일팔 피엠 이팔)을 붙였다.

'2018 PP29'의 발견영상.[사진= 천문연]
천문연구원 측은 “지구위협소행성 PP29는 발견 당시의 밝기와 거리, 소행성의 평균반사율을 고려하면 크기가 160m급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PM28은 크기가 직경 20~40m 사이로 추정된다. 궤도는 지구위협소행성의 조건에 부합하지만, 충돌이 일어났을 때 반경 수 백km 지역에 재난을 초래할 수 있는 크기인 지름 140m 보다 작아 지구위협소행성으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PM28은 지구와 비슷한 궤도로 공전하는 특이한 움직임을 보인다.
천문연 측은 “향후 100년 동안 PM28은 충돌 위협이 없으나, PP29의 경우 지구 충돌 가능성은 존재 한다“고 밝혔다. 실제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센트리(Sentry) 시스템은 PP29의 경우 2063년과 2069년 지구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충돌 확률은 28억분의 1로 나타났다.
두 소행성을 발견한 정안영민 박사는 “한국 최초의 지구위협소행성 발견은 외계행성탐색시스템의 광시야 망원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우리나라의 미래 소행성 탐사를 위한 기반 연구를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천문연은 자연우주물체 등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우주물체감시실을 운영하고 있다. 정부는 2015년 1월 천문연을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지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