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일본 오사카(大阪)에서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참석차 2박 3일 일정으로 출국길에 오른다. 문 대통령은 이번 일본 방문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재가동하기 위해 힘쓸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착 당일인 27일 오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28일 오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총 7개국 정상과 회담을 갖는다.
특히, 문 대통령은 지난 20~21일 방북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담한 시 주석과 만나 북한의 비핵화 의중을 확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중국 측에 방북을 권유하며 김 위원장의 의중을 파악하는 과정에 공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시 주석의 방북이 남북 간, 북미 간 대화가 재개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해 이번 한중 정상회담이 현 비핵화 정세의 중대한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전망했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도 중요한 비중을 갖고 있다.
앞서 김 위원장은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김 위원장의 행보와 관련, '하노이 노딜' 후 북한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재개에 대비해 러시아를 더 확실하게 지원세력으로 확보하고자 하는 의도라는 풀이가 나왔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은 러시아의 협력 또한 비핵화 협상 재개에 없어서는 안 될 요소라는 점을 고려해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에도 공을 들일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또 이번 G20 기간 인도네시아·캐나다·인도·아르헨티나·네덜란드 정상과도 회담을 하고, 북한 비핵화 및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지지하는 세계 정상의 외연을 넓히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문 대통령은 앞서 한 차례 이상 회담한 정상들인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마우리시오 마크리 대통령과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와 만난다. 이들은 모두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관련한 문 대통령의 성과를 높이 평가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