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편안한 잠을 방해하는 요소가 있다. 바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일부 호흡부위가 막히거나 기능이 떨어져 목젖 등 주위 구조물에 진동이 발생하는 호흡잡음이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지속적으로 호흡이 멎는 증상이다.
대부분 코골이는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며, 밤새 수차례 호흡이 정지되는 수면무호흡증은 장시간 이어지면 자다가 급사할 수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수면무호흡 환자의 뇌파 측정표를 보면 뇌파가 마치 죽은 사람처럼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무호흡증이 반복되다 참기 힘든 상황이 오면 호흡정지가 발생하고 이 때 위협을 느낀 뇌가 무의식 중 몸을 뒤척이게 하면서 반복적으로 잠을 깨게 하는 것이다. 이는 수면의 질을 떨어뜨려 낮에 졸리고 집중력 저하와 심한 피로감이 몰려오는 수면장애 증상으로 이어진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은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
추일연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신경과 과장은 “코골이를 동반한 수면무호흡증은 저산소혈증으로, 고혈압과 부정맥 위험이 높고 산소가 떨어지면 뇌압이 상승해 뇌졸중과 심근경색, 기억력장애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며 “수면 중 호흡장애 현상이 한 번이라도 나타나면 반드시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장애 진단을 위한 표준검사로, 환자에게 센서를 부착해 잠을 자는 동안 뇌파와 심전도, 호흡상태를 체크하며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장애를 진단하는 검사다.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은 코, 목젖, 혀 윗부분 등을 수술하는 것이며, 비수술적 치료는 양압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양압기는 주5회, 하루4시간 이상 끼고 자면서 산소를 올리고 코골이를 없애호흡을 정상으로 되돌려주는 호흡 재활 치료기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중 관리와 금연, 금주가 기본이며, 수면 자세 교정이 필수다.
또 바로 자거나 엎드려 자는 것 보다는 옆으로 자는 것을 좋다. 중력의 영향으로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수면무호흡과 함께 위산 역류가 있는 사람은 신체구조상 왼쪽으로 누워 자는 것이 권장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