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방치하면 심장마비‧뇌졸중 등 합병증 위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황재희 기자
입력 2019-06-27 10: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은 질병, 치료 필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수면의 질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편안한 잠을 방해하는 요소가 있다. 바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일부 호흡부위가 막히거나 기능이 떨어져 목젖 등 주위 구조물에 진동이 발생하는 호흡잡음이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지속적으로 호흡이 멎는 증상이다.

대부분 코골이는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며, 밤새 수차례 호흡이 정지되는 수면무호흡증은 장시간 이어지면 자다가 급사할 수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수면무호흡증은 평균 1시간 동안 5회, 회당 10초 이상 숨을 멈추는데, 원인은 대부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다. 수면 중 기도가 좁아져 공기가 기도를 넘어가기 힘든 상태가 되는 것으로, 숨 쉴 때 어려움을 겪고 결국 수면 중 기도가 닫혀 호흡이 멈추거나 약해져 잠을 설치게 된다. 또 혀가 일반인 평균 사이즈보다 크면 수면 중 중력으로 혀가 뒤로 쳐져 기도를 막아 호흡 방해가 올 수 있다.

수면무호흡 환자의 뇌파 측정표를 보면 뇌파가 마치 죽은 사람처럼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무호흡증이 반복되다 참기 힘든 상황이 오면 호흡정지가 발생하고 이 때 위협을 느낀 뇌가 무의식 중 몸을 뒤척이게 하면서 반복적으로 잠을 깨게 하는 것이다. 이는 수면의 질을 떨어뜨려 낮에 졸리고 집중력 저하와 심한 피로감이 몰려오는 수면장애 증상으로 이어진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은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 

추일연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신경과 과장은 “코골이를 동반한 수면무호흡증은 저산소혈증으로, 고혈압과 부정맥 위험이 높고 산소가 떨어지면 뇌압이 상승해 뇌졸중과 심근경색, 기억력장애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며 “수면 중 호흡장애 현상이 한 번이라도 나타나면 반드시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장애 진단을 위한 표준검사로, 환자에게 센서를 부착해 잠을 자는 동안 뇌파와 심전도, 호흡상태를 체크하며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장애를 진단하는 검사다.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은 코, 목젖, 혀 윗부분 등을 수술하는 것이며, 비수술적 치료는 양압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양압기는 주5회, 하루4시간 이상 끼고 자면서 산소를 올리고 코골이를 없애호흡을 정상으로 되돌려주는 호흡 재활 치료기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중 관리와 금연, 금주가 기본이며, 수면 자세 교정이 필수다.

또 바로 자거나 엎드려 자는 것 보다는 옆으로 자는 것을 좋다. 중력의 영향으로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수면무호흡과 함께 위산 역류가 있는 사람은 신체구조상 왼쪽으로 누워 자는 것이 권장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