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27일 서울 정동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0만5517명의 조합원 쟁의권을 확보하며 사상 최초로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조합의 연대 총파업 돌입 준비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산하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조에는 20만명 가량이 가입해 있다. 이날 오전까지 조합원 가운데 80.3%가 투표에 참여했고 70.3%가 파업에 찬성했다.
총파업 찬반투표 가결로 쟁의권을 확보한 조합원은 공공운수노조 3만8944명, 민주일반연맹 1만4313명, 서비스연맹 5만2260명 등이다. 민주노총은 “현재 찬반투표를 진행 중인 조직이 있어 쟁의권 확보 조합원수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총파업은 지난 4월부터 예고됐으나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구속으로 ‘노동탄압’에 반대하는 성격도 띠게 됐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조는 “비정규직 철폐와 차별 해소에 대한 문재인 정부 정책 대부분이 후퇴하거나 실종했다”고 주장하고 “최저임금 공약 파기와 노조법 개악 등 노동개악 추진에 이어 이에 저항하는 민주노총 위원장과 간부를 구속·탄압하는 정부에 저항한다”고 총파업 이유를 설명했다.
이들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조건은 정부 예산과 지침으로 결정된다”면서 “진짜 사용자인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 관련 노정교섭에 응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