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회 정상화 늦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A. 한국당 의원들이 합의문에 대해 ‘우리가 얻은 게 없다’며 합의문에 강력히 반발했기 때문입니다. 교섭단체 원내대표들은 ‘선거법, 공수처법, 검경수사권 조정법 등 패스트트랙법안은 각 당의 안을 종합하여 논의한 후 합의정신에 따라 처리한다’고 합의했습니다. 또 ‘국회의장 주관으로 국회 차원의 경제원탁토론회를 개최하되 형식과 내용은 3당 교섭단체가 추후 협의하여 정한다’고도 합의했습니다.
Q. ‘얻은 게 없다’는 건 무슨 뜻인가요?
A. 한국당 의원들에게 실질적으로 득이 되는 제안이 없었다는 겁니다. 민주당에서 ‘경제실정청문회’를 ‘경제원탁토론회’로 받아들이고, 패스트트랙 법안도 각 당 안을 종합해 논의하기로 했지만, 한국당 의원들은 패스트트랙 법안들은 완전히 철회가 돼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거기다가 지난 패스트트랙 정국 때 국회 선진화법 위반으로 고소․고발된 의원들은 이를 철회해주기를 내심 기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국당 의원들은 오히려 패스트트랙 지정의 정당성을 인정해준 합의라는 주장도 펼치고 있습니다. 합의를 한 나경원 원내대표로서는 상당히 당혹스러운 상황입니다.
A. 그런 거 같습니다. 패스트트랙 지정 당시 물리력으로 의사 진행을 방해해서 국회 곳곳에서 소요가 발생했습니다. 100여명이 넘는 의원과 보좌진들이 고발된 상태입니다. 본격적인 수사를 위해서 소환조사가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막상 통지요구서를 받게 되니 당황스러운 것 같습니다.
Q. 정부여당은 어떤 입장인가요?
A. 고소고발 철회에 대해서는 협상 초기부터 받아줄 수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습니다. 자신들이 철회한다고 해도 수사는 그대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재합의를 요구하는 나 원내대표를 향해서도 “재협상은 없다”는 기본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추가경정예산안 등 처리가 급한 상태에서 협상을 안 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Q. 추경안은 처리가 되는 건가요?
A. 현재로서는 불투명합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는데 현재 예결특위는 위원들의 임기 종료가 된 상태입니다. 새 위원을 선임하고 위원장을 선출해야 하는데 한국당 몫으로 돼 있기 때문에 한국당의 협조가 없으면 추경안 심의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민주당은 일단 앞서 합의한 대로 의사일정을 진행한다는 입장입니다. 오는 28일 본회의를 열고 예결위원장을 선출한다는 계획을 그대로 밀고 나갈 것이라고 합니다.
Q. 한국당 협조가 없이 할 수 있나요?
A. 법적으로는 가능합니다. 국회법 제48조에 따르면 교섭단체가 위원을 선임하지 않는 경우 국회의장이 위원을 선임할 수 있습니다. 또 예결위원장 또한 본회의에서 선거로 뽑게 돼 있어 법적으로 예결특위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정의당이 이런 주장을 강하게 펼치고 있습니다. 다만 문희상 국회의장과 민주당의 정치적 부담이 아주 큽니다. 전례가 없고 국회를 운영해온 관례를 무너뜨리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언제쯤 국회 정상화가 될 수 있을까요?
A. 지금으로선 알 수가 없습니다. 오늘도 교섭단체 대표들은 물밑에서 서로의 의견을 알아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모쪼록 합의를 이뤄내서 일하는 국회의 모습을 국민들에게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요.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