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요미우리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지난 1일 일본 정부가 발표한 한국 경제보복조치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의 규칙을 위배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자유무역과 관계가 없다. 국가와 국가의 신뢰관계로 행해온 조치를 수정하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 스스로 이번 조치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후속조치라는 사실을 인정한 셈이다.
일본 경제산업성도 1일 한국 기업의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3개 품목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강화를 발표하면서 이번 조치 배경에 대해 "(양국 간) 신뢰 관계가 현저히 훼손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관계자는 "한·일 외교채널이 아래 위가 다 막혔다"며 "주일 한국대사관 접촉 외에 다른 협의채널은 중단됐다"고 귀띔했다.
산업부와 외교부 등 각 부처 간 손발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일본경제성의 보복조치가 발표된 직후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강경대응 방침을 내놨지만 외교부는 조세영 제1차관이 전날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일본대사를 초치한 게 전부였다.
지난달 25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일본의 보복성 대응조치가 나온다면 (우리도) 가만있을 수는 없다"고 한 발언과는 온도차가 크다.
강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외교부 차원에서 후속대책을 준비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앞으로 상황을 보면서 (후속대책을) 연구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03/20190703070430653910.jpg)
[사진=연합뉴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