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갈등의 해소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기 힘들지만,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다는 점에서 양국은 결과적으로 합의점을 찾을 것으로 본다.
어쨌든 최근 안전자산으로 돈이 몰리면서 금·달러·채권 선호 심리가 강해졌다. 그중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달러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달러화는 글로벌 기축통화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질 때마다 가격이 상승하는 안전자산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국내 투자자가 달러 표시 자산을 보유·투자할 때 자산 증식뿐 아니라 위험분산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환율을 예측하기란 정말 어렵다. 단순히 환차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달러를 투자하기보다 자산 배분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 이유다. 다양한 달러 표시 상품들이 출시됨에 따라 달러 표시 상품도 포트폴리오 투자가 가능해졌다. 투자기간, 위험 성향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할 수 있다.
보수 성향의 단기 투자 고객이라면 월 단위 기간별로 약정 이율을 적용 받는 달러 정기예금을 살펴보자. 현재 원화 정기예금보다 더 높은 연 2%대 금리를 주며 1개월, 3개월 등 단기로 가입해도 자동 갱신 서비스를 가입하면 그때마다 만기 처리를 하지 않아도 돼 편리하다.
최근엔 환프리미엄신탁이 인기인데, 한·미 양국의 이자율 차이로 인한 환프리미엄 발생에 따른 '정기예금+α'의 수익을 추구한다. 미국의 9월 기준금리 인하 전망 확대 및 금리 인하 시에 환프리미엄 감소 가능성이 있으므로 한시적인 투자기회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정기예금+α' 수준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고객이라면 달러로 표시된 해외채권도 눈여겨볼 만하다. 정기적으로 이자가 지급되는 이표채로서 미국 국채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국채 또는 달러로 발행된 한국 기업도 선택 가능하다.
원화 펀드에 대한 투자 경험이 있는 고객이라면 달러 표시 펀드나 역외 펀드도 방법이다. 지역별·자산군별·전략별로 다양하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다. 물론 원금 손실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일정 수준의 위험 수용이 가능하고 주가지수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고객이라면 ELS 상품을 선택하는 것도 좋다. 원화 ELS와 같은 구조라도 달러 ELS 상품의 금리가 더 높다. 원화도 마찬가지지만 ELS를 선택할 때는 주요국 주가지수를 연계로 하는 상품을 선택할 것을 추천한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자금운용을 희망하는 고객이라면 달러 저축보험 상품이 있다. 약정 기간 중 월별 공시이율을 적용하는 상품도 있지만 확정금리를 주는 달러 연금보험도 있다. 개인의 한도 여부에 따라 최고 1억원 한도 내 거치식 보험에 가입한 뒤 10년 이상 보유하면 달러로 발생된 이자 부분에 대해 비과세 혜택도 가능하다.
달러화를 사려고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어느 정도의 기간과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면 선택의 폭을 좁힐 수 있을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