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일본의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관련 수출 규제가 현실화 돼도 이미 양산 체재를 갖추고 있다”고 말해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어 “다수의 글로벌 디스플레이업체와 지속적으로 샘플 제품을 공급하고 있고, 일부 업체에는 이미 적용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는 TV와 스마트폰용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의 핵심 재료다. 최근 폴더블 디스플레이 내 커버 윈도우에 적용된 부품이다, 국내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 생산 업체는 코오롱 인더스트리, SK이노베이션, SKC 등이 있다.
한편 NH투자증권은 일본의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수출 규제 관련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투명 폴리이미드 필름 업체, 패널 업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03/20190703175118611720.jpg)
코오롱인더스트리 공장 전경. [사진=코오롱인더스트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