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소비 둔화는 완화됐지만 투자·수출은 위축"

  • 'KDI 경제동향' 4개월째 '부진' 표현

한국개발연구원(KDI)가 한국 경제에 대해 4개월 연속 '부진'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7일 KDI는 'KDI 경제동향' 7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 둔화가 다소 완화됐으나, 투자와 수출은 위축되며 경기가 부진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KDI는 작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는 경기에 대해 '둔화'라는 표현을 썼다가 4월부터 이달까지 '부진'이라는 단어를 넉달째 사용했다.

생산의 경우 5월 조업일수 증가 등으로 서비스업생산 증가 폭이 소폭 확대됐지만, 광공업생산은 감소해 1년 전보다 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매판매액 증가율은 전월(1.4%)보다 높은 3.4%였다. 외국인 관광객 급증의 영향으로 KDI는 분석했다.
 

[사진=연합뉴스]



KDI는 "소매판매액은 증가 폭이 소폭 확대됐으나 투자 부진이 지속하고 수출 감소 폭은 확대되는 등 수요가 여전히 위축돼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같은 달 설비투자는 부진한 모습이 이어졌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부진이 계속되면서 전월(-6.3%)보다 추락폭이 커져 -11.5%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설비투자 선행지표인 6월 자본재수입액 증가율은 전월 -16.5%에서 감소 폭이 더 확대된 -21.6%였다.

김성태 KDI 경제전망실장은 "선행지표 등을 보면 설비투자가 더 내려갈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며 "안 좋은 상황이 횡보하는 형국"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반도체 산업의 부진이 설비투자 부진의 원인으로 손꼽혔다. 5월 특수산업용기계 설비투자 증가율은 전월(-32.5%)보다 더 악화한 -35.3%를 나타냈다. 6월 반도체제조용장비 수입액도 -47.1%로 전월(-47.7%)과 유사했다.

6월 수출금액은 13.5% 감소했다. 전월(-9.5%)보다 감소 폭을 더 커졌다. 품목별로는 자동차(8.1%)는 증가했으나 반도체(-25.5%), 석유화학(-24.5%), 석유제품(-24.2%) 등에서 크게 감소했다. 수출 감소의 원인은 대외 수요 위축과 반도체‥석유류 가격의 하락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의 경우 취업자 수는 증가세를 이어갔다. 5월 취업자는 1년 전보다 25만9000명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