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7∼8월 여름철 휴가 기간 내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익사 사고 8건을 분석한 결과 음주 후 물놀이로 인한 사고가 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일반적으로 술을 마시면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혈관이 늘어난다. 이때 찬물에 들어가면 늘어났던 혈관이 급속히 수축해 심장에 부담을 줘 심장 마비가 올 수 있다.
공단은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국 21개 국립공원의 주요 해변과 계곡 등 173곳을 중점 관리 대상으로 선정해 집중 관리하고 있다.

피서객 기다리는 물놀이 기구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