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간담회는 지난해 11월 정부의 ’유턴기업종합지원대책‘ 발표 이후, 제도 개선에 따른 유턴기업의 의견과 추가 건의사항 등을 청취하기위해 마련됐다. 자동차부품, 전기전자, 소비재, 플라스틱 분야의 총 9개 중소중견기업이 참석했다.
작년에 국내복귀 기업으로 선정돼 조명 생산 공장 신설과 자동화 설비투자를 준비 중인 A사는 “인건비 상승, 구인난 등으로 현지 경영여건이 지속 악화돼 한국의 자유무역협정(FTA) 관세혜택과 메이드인코리아(Made in Korea) 브랜드를 활용, 미국 및 유럽시장 개척을 위해 국내복귀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자동차부품 생산 공장 증설을 준비 중인 B사는 해외사업장 철수 과정에서 느낀 어려움을 호소했다. “해외 공장 청산‧양도는 민감한 사안을 철저한 보안 하에 처리해야 하는 어려운 과정”이라며 코트라측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코트라는 진출기업들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구조조정 컨설팅 지원 사업’을 중국, 베트남에 이어 인도네시아, 필리핀, 인도, 태국까지 총 6개 국가로 확대했다. 이 사업은 국내 기업이 해외법인 청산 또는 양도 시 전문가의 컨설팅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한, 민간회계법인과의 협업을 통해 지난 4월 해외 투자회수 노하우를 공유하는 설명회를 개최했고, 향후에도 전문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국내기업의 해외 현지법인 구조조정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코트라 조사에 따르면 해외 진출기업은 국내복귀를 고려하는 주된 요인으로 해외 현지 인건비 상승 등 경영환경 악화(87.8%), 우리나라의 FTA 네트워크 및 브랜드 효과(53.6%), 우수인력 활용(26.8%) 등을 꼽고 있다.
권평오 코트라 사장은 “유턴지원은 우리 기업의 성공적인 국내 복귀를 통한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국내외 투자의 선순환 고리 형성을 위해 중요하다”면서 “코트라는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애로 및 건의사항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코트라는 지난 5일 대전 상공회의소에서 ‘2019 유턴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권평오 코트라 사장(앞줄 왼쪽에서 5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코트라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