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김성원의원]
대우공무원이란 승진의 제한사유가 없음에도 승진을 하지 못한 사람에게 상위계급에 상응하는 대우를 해주는 제도로 2009년부터 시행돼왔다.
그런데 일반직, 우정직, 경찰, 소방 등의 공무원들은 각 시행령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 반면, 군인은 법적 근거가 없어 대우공무원제도에 따른 수당 등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김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현재 시행령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우공무원제도를 법률로 격상시켜 군인도 대우공무원제도를 만들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주고 이에 따른 수당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적용대상은 상사(10년차 이상), 대위(9년차 이상), 소령(9년차 이상)이다.
2019년 봉급액에서 4.1%를 적용하면 대우군인수당의 월 지급액은 소령 16만600원, 대위 13만6,100원, 상사 12만,300원이 된다.
이번 개정안은 당장 동두천과 연천 등 경기북부 접경지역에 주둔하는 직업군인들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진급이 누락돼도 대우공무원에 선정될 경우 월급여에 수당이 추가됨으로써 안정적인 추가 소득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군인만 없었던 대우공무원제도를 신설함으로써 타 공무원들과의 형평성을 맞출 필요가 있다.”면서,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돼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봉사하는 군인들의 사기진작은 물론 나아가 대한민국 군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도 부사관과 장교 등 직업군인들의 처우개선을 위한 인사‧보수‧수당 체계의 개선책 마련을 위해 악착같이 일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