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규제 샌드박스라는 말은 새로운 기술·서비스가 규제로 인해 현실화가 불가능한 경우 규제를 적용치 않고 활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융규제 샌드박스는 금융권에서 규제 샌드박스가 적용되는 절차나 기술·서비스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금융권에 규제 샌드박스가 왜 필요할까요? 최근 새로운 금융 기술·서비스는 대부분 ICT(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탄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금융당국(금융위원회 등)의 소관 법률 이외에도 여러 법률을 지켜야 하는 탓에 현실화가 불가능한 경우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규제 샌드박스는 혁신적인 신사업 창출을 목적으로 대상자를 한정해 현행법상의 규제 적용을 일시 정지해주는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올해 1월부터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했습니다. 사업자가 금융당국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혁신금융서비스가 맞는지 심사와 테스트를 거치고 금융규제 샌드박스로 지정받을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상반기 동안 6차례에 걸쳐 상기 절차를 진행한 결과 총 37개 기술·서비스가 금융규제 샌드박스 대상(혁신금융서비스)으로 지정 받았습니다.
금융위는 이달 중순부터 다시 신청서 접수를 시작으로 하반기에도 금융규제 샌드박스 대상을 지정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사진=금융위원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