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서비스 파트너들은 클레이튼 기반으로 비앱(BApp, Blockchain Application)을 출시해 블록체인 기술의 가치와 유용성을 증명하고, 블록체인 대중화(Mass Adoption)를 이끌어 나갈 방침이다.
◆ 힌트체인(HINT Chain)
힌트체인은 음식 취향 프로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 개개인에게 AI 기반의 맞춤형 푸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다. 제조-유통-외식기업은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장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힌트체인은 소비자들이 실생활에서 레스토랑 리뷰를 작성하면 힌트 토큰으로 보상받는 ‘해먹남녀’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으로, 이 날 행사에서 해먹남녀 서비스 내 힌트토큰 보상 프로세스를 시연했다.
피블은 이용자들이 사진이나 글을 올리면 암호화폐로 보상을 받는 이미지 중심 소셜미디어서비스로, 오는 16일 정식 출시된다. 피블은 서비스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의 70%를 이용자들에게 돌려주는 구조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미지를 올리고, 광고를 보고, 광고를 하는 등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토큰 보상 프로세스를 시연했다.
◆ 코스모체인(Cosmochain)
블록체인 기반 뷰티 소셜 플랫폼 코스모체인은 지난 5월 말 출시한 뷰티 서비스 '핏츠미'를 지난 5일 클레이튼 기반으로 업데이트했다. 핏츠미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개인화된 추천을 해주는 뷰티 서비스로, 핏츠미 앱 내에서 이용자가 개인 뷰티 정보 응답시 이를 블록체인에 반영하는 과정을 시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09/20190709163652179356.jpeg)
카카오 클레이튼 초기 파트너사[사진=그라운드X]
◆ 스핀 프로토콜(SPIN Protocol)
스핀 프로토콜은 중개인 없이 상품 공급자와 인플루언서가 직접 연결되는 투명하고 효율적인 탈중앙화 커머스 생태계를 지향한다. 블록체인을 통해 상품 공급자와 인플루언서가 수익 분배율 결정에서부터 계약 체결, 판매량 확인검증 및 정산까지 커머스의 전체 프로세스를 스마트 컨트랙트로 자동화했으며, 행사에서 해당 프로세스를 시연했다.
◆ 픽션 네트워크(Piction Network)
오는 12일 서비스 출시 예정인 픽션 네트워크는 웹툰, 웹소설 등 창작 디지털 콘텐츠 마켓에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고 창작자와 함께 보상을 나누는 탈중앙화된 디지털 콘텐츠 에코시스템을 지향한다. 이 날 창작자의 콘텐츠 업로드 과정과 후원자의 후원, 창작자의 판매내역 조회 및 후원자와 보상을 나누는 전체 과정을 시연했다.
◆ 인슈어리움(Insureum)
인슈어리움은 미세먼지, 눈, 비 등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보상이 결정되는 프로텍션(Protection) 플랫폼으로 보상청구와 지급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적용되어 자동 처리된다. 인슈어리움 웹 내에서 상품을 가입하고 보상과 청구가 진행되는 화면과 인슈어테크(Insurtech)앱인 직토(ZIKTO) 서비스 내에서 인슈어리움 보상 화면을 시연했다.
◆ 클라우드브릭(Cloudbric)
클라우드브릭은 블록체인을 통해 보안 공격 데이터를 수집, 공유하고 인공지능에 의해 강화되는 클라우드 보안 플랫폼이다. 사용자가 위협 DB 업로드 시 인센티브 토큰이 지급되는 과정과 향후 출시될 일반 고객 대상 블록체인 보안 앱 서비스를 시연했다.
◆ 에어블록(Airbloc)
에어블록은 개인이 데이터를 정당한 대가를 받고 팔 수 있는 탈중앙화된 데이터 거래 플랫폼으로, 데이터가 수집, 수익화되고 사용되는 방식을 재정의한다. 이 날 이용자가 데이터를 제공하고, 활용하며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시연했다.
◆ 앙튜브(Antube)
앙튜브는 동영상을 업로드하거나 미션을 수행하면 토큰으로 보상받는 서비스다. 서비스 내 중간광고 시청 등 유저 활동에 따른 토큰 보상 프로세스를 최초로 시연했으며, 서비스 내부에서 통용되는 화폐인 ATT를 클레이튼 기반으로 발행할 계획이다. 앙튜브는 현재 구글 플레이스토어 등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