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가 말해요 '취향 저격' 해수욕장

함덕 해수욕장 [아주경제 DB]

#20대 후반의 사회 초년생 K씨는 올 여름 짧은 휴가를 내고 친구들과 해수욕장으로 떠나기로 했다. 평소 윈드서핑, 스노쿨링 등 해양 액티비티를 즐기는 K씨는 어떤 해수욕장을 가는 것이 좋을까? 빅데이터는 '강원도 양양 죽도해변'이다.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는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소셜미디어 및 통신 빅데이터와 일반 설문조사 결과를 연계해 우리나라 국민의 해수욕장 이용 및 관광행태·동반자·방문 시기별 인기 해수욕장을 분석했다.

△해양 액티비티를 즐기는 2030세대에겐 '양양 죽도해변'이 최고

공사에서 진행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 양양 죽도해변은 서핑 등 해양 액티비티를 즐기기 좋은 해수욕장 1위에 올랐다. 통신 데이터 분석 결과에서도 20~30대의 연간 방문객 비율이 31.4%를 차지, 1위를 기록했다.

△연인과 드라이브는 송정해수욕장, 지인과 힐링은 강릉 안목해변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에서 부산 송정해수욕장은 ‘드라이브(1위)’ 키워드와 연관성이 가장 높았다. 특히 가족/친구 보다는 ‘연인’이 더 높은 연관성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강릉 안목해변은 ‘힐링’ 키워드에서 1위로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고 친구/가족/연인 등 모든 동반자 유형에서 고른 분포를 보였다. 감성어 분석에서 ‘신나는’, ‘깨끗한’, ‘맛있는’, ‘예쁜’ 등 모든 긍정적 키워드에서 높은 순위의 연관성을 보였다.

△가족여행에는 협재해수욕장...함덕해수욕장은 '인기 급상승'

협재해수욕장은 관심도가 가장 높은 해수욕장으로 2016년부터 올해까지 1위 자리를 지켰다.

‘힐링(2위)’, ‘드라이브(2위)’, ‘스노쿨링(1위)’ 등 어떤 목적으로든 찾기 좋은 지역으로 연상되는 곳이 협재해수욕장이었다.

동반자는 ‘가족(1위)’이 압도적으로 높게 언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어 분석에서 ‘신나는’, ‘깨끗한’, ‘맛있는’의 키워드에서 모두 1위의 언급량을 보였는데, 특히 ‘맛있는’의 언급량이 가장 많았다.

함덕해수욕장은 소셜미디어 데이터상 관심 순위가 2016년 이래 지속 상승세를 보이며, 2018년 2위로 높은 관심을 받았다. ‘가족’ 키워드에서 2위의 언급량을 보였고, 감성어에서는 ‘깨끗한’ 키워드와 보다 높게 연관돼 있었다.

△2030 세대는 죽도해변 많이 찾아

지역별 여름철 해수욕장 방문객에 대한 통신 빅데이터 분석 결과 해수욕장 유동객의 24.7%가 충남 지역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나며, 23.4%는 부산 지역을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주요 해수욕장의 방문객 연령 분석 결과 죽도해변의 20~30대 비율이 31.4%로 가장 높았고, 영일대(31.2%), 왕산(26.2%), 경포(25.7%), 을왕리(25.5%) 해수욕장 등도 젊은층의 방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물놀이/수상스포츠보다 ‘식도락’과 ‘휴양/휴식’ 선호

설문조사 응답자 1,000명은 해수욕장 방문시 활동으로 ‘식도락(71.1%)’과 ‘휴양/휴식(68.7%)’을 ‘물놀이(39.0%)’, ‘수상스포츠(11.0%)’보다 높게 응답했다.

이것은 소셜미디어 빅데이터에서 ‘힐링’, ‘맛있는’ 등 키워드가 많이 언급되는 결과와 높은 연관을 보인다.

△한국인, 평균 4일 일정으로 해변여행

한편 온라인 여행사 익스피디아가 여름 휴가 시즌을 맞아 각국의 해변여행 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7개국 성인 남녀 8000명(한국인 응답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인은 평균 4일의 일정으로 해변 여행을 다녀왔다. 

예상 휴가 비용은 글로벌 평균보다 적었다. 1주일 간의 여행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한국인 평균 예상 경비는 190만원, 세계인의 예상 경비는 283만원이었다.

한국인이 해변에서 하루 중 보내는 시간은 평균 5.4시간이었다. 수영(87.1%), 마사지 또는 스파(61.2%), 조깅(54.7%), 프리스비(54.1%), 발리 볼(44.9%), 요가(32.1%) 등 다양한 활동을 즐겼다. 음악(82.0%)과 술(70.6%)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도 선호했다. 해당 항목 모두 전체 평균보다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나이트 라이프를 즐기는 데도 적극적이었다. 해변여행지를 선택할 때 해변과 가까운 곳에 클럽, 바가 위치해 있는지(57.8%), 해변에서 파티가 열리는지(49.6%)도 고려했다.

한국인 여행객이 해변여행을 준비하는 기준은 다양했다. 가족여행객 대상 숙소와 액티비티(75.7%)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이들이 있는 반면, 노키즈 존(54.1%)에 대한 수요도 상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