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방문 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일본 대형은행 관계자 등과 만난 자리에서 한일 관계가 더 악화할까 걱정이라는 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민영방송 TV아사히는 이 부회장이 일본 대형은행 등의 인사들과 만남에서 나온 말이라며 동석했던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반도체 소재의 수출규제 문제보다 8월 15일 광복절을 앞두고 한국 내에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과 반일 집회 등이 퍼져 한일관계가 더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부회장의 발언은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한국 내 대일 여론 악화와 불매운동 등으로 일본기업도 타격을 입는 악순환에 빠져들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 것으로 보인다.
10일 민영방송 TV아사히는 이 부회장이 일본 대형은행 등의 인사들과 만남에서 나온 말이라며 동석했던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반도체 소재의 수출규제 문제보다 8월 15일 광복절을 앞두고 한국 내에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과 반일 집회 등이 퍼져 한일관계가 더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부회장의 발언은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한국 내 대일 여론 악화와 불매운동 등으로 일본기업도 타격을 입는 악순환에 빠져들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일 일본은 한국을 상대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반도체 기판 제작 때 쓰는 감광제인 포토 리지스트, 반도체 세정에 사용하는 에칭가스(고순도불화수소) 3종에 대한 수출 규제를 강화했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레지스트는 세계 전체 생산량의 90%, 에칭가스는 70%를 일본이 점유하고 있다.
이에 이 부회장은 지난 7일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출장길에 올랐다. 당초 업계에선 이 부회장이 전날인 9일 귀국할 것으로 전망했다. 오늘 열린 문재인 대통령 주재 대기업 총수 간담회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 부회장은 간담회에 불참하면서까지 11일까지 현지에 머무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 부회장은 지난 7일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출장길에 올랐다. 당초 업계에선 이 부회장이 전날인 9일 귀국할 것으로 전망했다. 오늘 열린 문재인 대통령 주재 대기업 총수 간담회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 부회장은 간담회에 불참하면서까지 11일까지 현지에 머무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일본 정부의 대(對)한국 수출 규제에 대한 대책 논의를 위해 7일 오후 서울 김포공항을 통해 출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