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투표 결과에 따라 금융결제원은 ISO 금융서비스분과(TC68)에서 국내 최초로 18개국으로 구성된 ‘국제표준안 작성 워킹그룹’의 프로젝트 리더를 맡게 됐다.
금율결제원은 2022년 8월까지 바이오인증 국제표준안을 마련한 후 ISO 에서 최종 승인을 획득할 예정이다.
이번에 금융결제원이 국제표준안의 내용으로 제시한 바이오정보 분산관리모델은 하나의 바이오정보를 분할해 금융회사와 제3의 보관소가 나눠 저장·관리하고, 인증 요청 시 암호화된 방식으로 분할된 바이오정보를 결합해 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분산관리기술은 2016년 11월 한국은행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에서 금융분야 단체표준으로 제정된 이후 국내 80여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적용하고 있다. 현재는 디지털 키오스크 및 모바일 인증분야로 인증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국내의 바이오정보 분산관리모델이 국제표준에 반영되면 핀테크 핵심분야인 바이오 인증시장에서 우리나라가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최종 채택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사진=금융결제원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