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규모'에 따르면 상반기 한은이 폐기한 손상화폐는 2조2724억원이었다. 지난해 하반기 2조2399억원보다 325억원 늘었다. 장수로는 4000만장 증가한 3억5000만장이었다.
손상 화폐 가운데 지폐는 2조2712억원(3억3000만장)이었다. 1만원권 지폐가 1억8000만장으로 가장 많았고, 1000원권(1억3000만장), 5000원권(2000만장), 5만원권(1000만장) 순으로 많이 폐기됐다.
동전 중에선 10원짜리가 600만개, 100원 470만개, 50원 150만개, 500원짜리가 110만개 버려졌다.
일반인이 상반기에 한은의 화폐교환 창구에서 교환한 손상화폐는 36억2000억원으로 지난해 하반기 대비 5억8000만원 늘었다.
은행권 교환액은 총 12억9000만원이며, 이 중 5만원권이 10억4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주화는 총 23억3000만원어치가 교환됐는데, 이 가운데 500원화가 14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일반인이 한은에 교환을 신청한 화폐의 액면 금액은 14억2000만원이었지만, 실제 받아 간 금액은 12억9000만원이었다. 나머지 1억2000만원은 반액 또는 무효 판정을 받아 액면 금액대로 받지 못했다.
면적의 4분의 3 이상이 남아 있어야 전액을 교환할 수 있다. 남은 면적이 5분의 2 이상~4분의 3 미만이면 반액만 교환해준다.
한은 관계자는 "불에 탄 지폐는 붙어 있는 재 부분까지 남아있는 면적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불에 탄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재를 털어내지 말고 상자에 담아 운반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습기 등으로 훼손된 은행권. [사진=한국은행]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