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경고한 가운데 중국 관영 언론들이 "미·중 무역협상 재개를 앞두고 미국이 '관세폭탄'을 예고한 것은 양보를 끌어내려는 상투적인 수법"이라고 맹비난했다.
17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는 "미국이 미·중 무역협상 합의에 아무런 영양가가 없는 '중국 압박'을 시작하려고 한다"며 "이는 무역협상 합의 달성을 더 늦출 뿐"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1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에 있어서는 갈 길이 상당히 멀다"며 "우리가 원한다면 3250억 달러(약 383조8250억원)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중국과 '딜'을 위해 대화하고 있다"며 "중국이 '딜'을 깨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중국의 태도에 따라 미·중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잠정 중단'을 파기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셈이다.
환구시보는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몽둥이'를 휘두르며 긴장을 고조시키는 방식으로 중국을 압박해 무역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는 속셈이다"라며 "이는 아무런 성과 없이 양국의 상처만 남을 채 끝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일관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신문은 "중국은 줄곧 대화와 협상을 통해 중·미 무역갈등을 해결해야한다고 주장했다"며 "중·미 무역협상과 관련해 중국은 성실한 자세로 임해왔다"고 전했다.
환구시보는 "미국의 어떠한 일방적이고 패권적인 행태도 중국의 확고한 반격에 직면할 것"이라며 "미국 압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중국에서 받는 반작용도 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미국의 연이은 대중 무역공세에 중국이 절대로 보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환구시보는 "미·중 무역관계가 광범위하고 긴밀하게 연계된 점을 활용해 다양한 보복조치를 가할 수 있다"고 위협했다.
실제로 중국은 이전 무역협상 때와는 달리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미국과의 막바지 협상을 앞두고 '강경파'인 중산(鍾山) 중국 상무부 부장을 앞세웠으며, 그동안 조치 없이 예고만 해왔던 '신뢰할 수 없는 실체 명단'에 대만에 무기를 판매하는 미국 기업을 포함시키고 나섰다.
중국 당국은 전문가의 '입'을 빌려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협상에서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대중 추가 관세를 예고한 트럼프를 비난하고 나섰다.
후시진(胡錫進) 환구시보 총편집장은 17일 중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웨이보를 통해 중국이 미국과 무역협상에서 기존 관세 철폐와 균형 있는 합의 등 3대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이 모든 추가 관세를 폐지하고, 중국의 미국산 제품 구매 규모는 현실적이어야 하며, 양국 간 협상은 평등한 위치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관세 폭탄'으로 압박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미·중 정상이 만나 무역협상을 재개하기로 약속했지만 사실상 교착 상태에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상·하원 의원들이 화웨이 제재를 미·중 무역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하면서 무역협상이 또다시 안갯속에 빠질 가능성에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17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는 "미국이 미·중 무역협상 합의에 아무런 영양가가 없는 '중국 압박'을 시작하려고 한다"며 "이는 무역협상 합의 달성을 더 늦출 뿐"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1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에 있어서는 갈 길이 상당히 멀다"며 "우리가 원한다면 3250억 달러(약 383조8250억원)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중국과 '딜'을 위해 대화하고 있다"며 "중국이 '딜'을 깨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중국의 태도에 따라 미·중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잠정 중단'을 파기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셈이다.
환구시보는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몽둥이'를 휘두르며 긴장을 고조시키는 방식으로 중국을 압박해 무역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는 속셈이다"라며 "이는 아무런 성과 없이 양국의 상처만 남을 채 끝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환구시보는 "미국의 어떠한 일방적이고 패권적인 행태도 중국의 확고한 반격에 직면할 것"이라며 "미국 압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중국에서 받는 반작용도 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미국의 연이은 대중 무역공세에 중국이 절대로 보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환구시보는 "미·중 무역관계가 광범위하고 긴밀하게 연계된 점을 활용해 다양한 보복조치를 가할 수 있다"고 위협했다.
실제로 중국은 이전 무역협상 때와는 달리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미국과의 막바지 협상을 앞두고 '강경파'인 중산(鍾山) 중국 상무부 부장을 앞세웠으며, 그동안 조치 없이 예고만 해왔던 '신뢰할 수 없는 실체 명단'에 대만에 무기를 판매하는 미국 기업을 포함시키고 나섰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후시진(胡錫進) 환구시보 총편집장은 17일 중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웨이보를 통해 중국이 미국과 무역협상에서 기존 관세 철폐와 균형 있는 합의 등 3대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이 모든 추가 관세를 폐지하고, 중국의 미국산 제품 구매 규모는 현실적이어야 하며, 양국 간 협상은 평등한 위치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관세 폭탄'으로 압박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미·중 정상이 만나 무역협상을 재개하기로 약속했지만 사실상 교착 상태에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상·하원 의원들이 화웨이 제재를 미·중 무역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하면서 무역협상이 또다시 안갯속에 빠질 가능성에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