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스탄을 방문 중인 이낙연 국무총리는 17일(현지시간) 수도 비슈케크에서 열린 한·키르기스스탄 비즈니스포럼에서 "키르기스스탄은 2020년까지 주차장과 도로, 병원, 학교 등 4억 달러 규모의 PPP(민관합작투자사업)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안다"며 "그 분야에서 기술과 경험을 가진 한국 기업이 키르기스스탄의 발전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키르기스스탄이 속한 유라시아경제연합(EAEU)과 한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이 조속히 체결돼 상호 간 무역장벽이 완화되고 자유로운 상품교역과 서비스 진출이 확대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무하메드칼르이 아블가지예프 키르기스스탄 총리도 "내각의 수반으로서 한국 기업인들의 투자 여건 마련을 직접 챙기겠다"고 답했다.

키르기스스탄을 공식 방문한 이낙연 국무총리가 17일(현지시간) 수도인 비슈케크 하얏트호텔에서 양국 기업 대표 등 180여명이 참석해 열린 한-키르기스스탄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아블가지예프 총리는 "굉장히 자유로운 조세가 마련돼 있다"며 "사업체들의 경우 개별 지역에서 판매세, 이윤세, 토지세, 부동산세 등 4가지 세금이 5∼10년간 면제되고, 농업생산기업과 물류센터, 기술장비에 대해서도 면세 혜택이 주어진다"고 밝혔다.
이어 "비즈니스 옴부즈맨 제도를 통해 투자자와 기업인이 보호받을 수 있으며, 자유통화제도를 통해 자본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 총리는 "키르기스스탄은 중앙아시아와 유럽과 중국을 연결하는 관문이자 요충지"라며 "특히 만년설과 수많은 호수의 수자원을 비롯한 천혜의 자원이 풍부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런 토대 위에서 매우 개방적인 무역과 투자 제도를 운영하며 견실한 경제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젊은 인구가 많아 역동적이고 성장잠재력이 크다"며 "한국 정부는 신북방정책을 통해 중앙아시아를 포함한 유라시아 국가들과 공동번영을 이루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양국 교류·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교역·투자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인프라 및 건설 분야 협력 △개발 협력 강화 △농업·소방·관광·문화 등 분야로의 협력 다변화 등 4가지를 제안했다.
이 총리는 "양국 사이에 문화, 스포츠, 세계 최고의 꿀을 포함한 식품, 자연을 활용한 관광 등 더 많은 분야의 상호 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