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민자사업의 새로운 방향 정립과 제도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유주현 대한건설협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대한건설협회]
정성봉 서울과학기술대 철도경영정책학과 교수와 홍성필 삼보기술단 민간투자연구소장은 18일 서울 여의도동 국회도서관에서 대한건설협회 주최로 열린 '민자사업의 새로운 방향 정립과 제도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정 교수는 민자사업의 정책변화와 그동안의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민자사업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향후 복지지출 증대 등으로 인한 재정 한계 극복을 위해 민간투자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성적 평가로 이뤄지고 있는 우대점수 산정 방식 개선이 필요하고, 위험 부담에 대한 근본적 개선이 요구됨에 따라 수익보장방식이 아닌 비용보장방식의 운영위험분담방식으로 변화돼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홍 소장은 민자사업의 합리적 위험분담 방식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을 내놨다. 그는 민간제안 시 사업제안서의 창의성 위주로 우대점수가 평가될 수 있도록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 기준을 개선하고, 교통수요 등 위험분담에 대한 소모적 논쟁을 줄이기 위해 운영 단계에서 확정 수입을 지급하는 방식 등이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민간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정부는 민자사업에 대해 일관성 있게 정책을 추진하고, 민자로 추진된 사업을 일방적으로 재정으로 전환하는 등 혼란을 주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주현 대한건설협회장은 "민자사업이 합리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 모두를 위한 제도 개선에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유주현 회장을 비롯, 정성호·박명재 의원,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 철도전문대학원 교수 등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