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의원은 이날 오전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늘 제가 내정이 됐으니 바로 활동을 시작해서 여야 간사들과 협의회 다음주 중엔 정개특위 회의 일정을 잡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홍 의원은 "기존 패스트트랙에 올려진 선거법 개정안을 놓고 실질적이고 본격적인 여야 협상이 시작돼야 한다"며 "그 안(案)이 중심이 돼야 하겠지만 그 안을 고수한다는 뜻은 아니다. 얼마든지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또 현실적인 합의 방안이 있다면 고집할 생각은 없다"고 했다.
앞서 정개특위에선 여야 4당 합의로 지역구 225석, 비례대표 75석, 50%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안을 내놓은 바 있다.
이어 "지금까진 현행 선거법을 절대로 고칠 수 없다는 주장 때문에 전혀 진전이 없었는데 조금 더 열린 마음으로, 한국정치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선거법 개정이기 때문에 진정성을 갖고 대화에 응해주시면 그 과정에서 여야 간 원만한 합의를 도출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자유한국당이 선거법을 논의하는 제1소위 위원장을 요구하는 데 대해선 "여야 간 이번 특위 연장에 대한 합의 정신이 있다고 들었다. 기존의 특위 구성과 그간의 활동 내용을 승계해서 연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큰 틀을 좀 존중해야 한다"면서도 "그 문제는 논의를 해보겠다"고 했다.
홍 의원은 바른미래당과 정의당 등 일각에서 주장하는 의원수 증원 주장에 대해선 "단정적으로 평가를 하지 않겠다"면서도 "선거법은 국회에서 의원들의 이해 관계를 조정하는 문제가 아니다. 국민들의 요구가 있기 때문에 그걸 무시할 순 없다고 생각한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국회 정개특위 위원장에 내정된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전 원내대표가 18일 오전 국회 원내대표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