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소재·부품기업 기술경쟁력 강화에 총력 대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대구)박신혜 기자
입력 2019-07-18 16: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공모한 소재·부품 분야 3개 과제 선정

대구시가 소재, 부품 기업의 기술 졍쟁력 강화에 총력 대응키로 했다.[사진=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최근 일본의 수출규제로 소재·부품산업의 국산화와 자립화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공모한 소재·부품산업 분야에 3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국비 10억여원을 확보해 국내 소재부품산업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스크럼 프로세스 기반 다중소재 내구성 향상 기술개발, 차량용 스테인리스 스피커그릴 가격혁신형 신(新)양산화 공정기술개발, 폐 이차전지의 고농도 불순물 제어 공정기술개발 및 이를 통한 전구체 소재 양산화 기술개발 등이다.

먼저, '스크럼 프로세스 기반 다중소재 내구성 향상 기술개발'은 자동차 엔진부품용 흡·차음재, 성형공정 기술개발 및 초친수성·친유성 클리닝 소재개발을 목표로, 내년 상반기까지 국비 5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 과제에는 지역 기업인 ㈜라지(달성공단)와 ㈜씨엠에이글로벌(이시아폴리스)이 참여한다.

'차량용 스테인리스 스피커그릴의 가격혁신형 신(新)양산화 공정기술개발'은 원가절감을 통한 생산성 증대를 위해 공정과정에서 최적의 조건을 수립함과 동시에 최종 시제품 품질분석이나 신뢰성 평가도 함께 추진된다. ㈜씨엠에스(검단공단)가 함께 참여하며 국비는 3억 8천만 원이 투입된다.

'폐 이차전지의 고농도 불순물 제어 공정기술개발 및 이를 통한 전구체 소재 양산화 기술개발'은 사용 후 폐기된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재 재사용(활용)을 위한 제어공정 기술개발과 이차전지 충·방전 테스트가 병행된다. 국비 1억 8천만 원이 투입되며, ㈜타운마이닝리소스(경북 구미)가 함께 한다.

대구시는 이들 연구개발(R&D) 사업 수행을 통해, 약 32억 원의 신규 매출이 발생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홍석준 대구시 경제국장은 "소재·부품산업은 국가 기반산업인 제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근간이 된다"라며 "대구시는 지역 소재·부품 기업들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