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트위터에 "미치 매코널 상원 원내대표와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케빈 맥카시 하원 원내대표가 합의에 이뤘음을 알리게 돼 기쁘다"며, "이것이 진정한 타협이다"라고 적었다.
합의안은 상하원 표결을 통과한 뒤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거치면 입법이 완료된다. 상하원은 6주간 이어지는 여름 휴회 기간 전에 신속히 처리한다는 계획이라고 로이터 등 주요 외신이 전했다.
이번 합의안은 연방정부 부채 상한 적용을 2021년 7월 31일까지 유예함으로써 재무부의 차입권한을 유지하는 게 골자다. 재무부가 빚을 더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앞서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연방 재정이 고갈되고 있다면서, 이르면 9월 초에 미국이 디폴트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011년 부채한도 증액을 둘러싸고 미국 의회가 교착상태에 빠지자, 미국의 디폴트 가능성을 문제 삼아 이 나라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강등했다. 디폴트가 실현된 건 아니지만, 당시 글로벌 금융시장은 미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됐다는 사실만으로 공포에 휩싸여 요동쳤다.
이번 합의안에는 향후 2년 동안 국방 및 비국방 부문에서 연방정부 지출을 총 3200억 달러 늘리는 방안도 포함됐다. 재량지출의 경우 10월 1일부터 시작되는 2020회계연도에 1조3700억 달러로, 그 이듬해엔 1조3750억 달러로 증액된다. 2019회계연도에는 1조3200억 달러였다.
다만 정부 지출과 부채가 모두 늘어나는 이번 합의안을 두고 미국의 재정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블룸버그는 이 합의안대로라면 내년 연방적자가 1조달러 증가할 수 있다고 봤다. 재정 보수주의 싱크탱크인 책임있는연방예산위원회(CRFB)는 "미국 역사상 최악 예산 합의"라며, 앞으로 10년에 걸쳐 미국에 2조 달러에 이르는 예산 적자를 안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