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
그동안 산후조리원에 대해서는 서비스 개선 요구가 있었으나, 관할 지방자치단체에는 모자보건법상 감염·안전 기준 등 위반 여부에 대한 단속 권한만 있어 실질적인 서비스 개선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웠다.
이에 정부는 2015년 산후조리원 평가에 따른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이듬해 평가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실시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는 평가기준에 따른 현장 적용가능성 검증을 위한 시범평가를 시행했다.
그 결과, 산후조리원은 국가재원이 투입되지 않는 민간 사업영역으로 평가의 절차‧방법‧지표 등에 대한 인식과 준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 관계자는 “산후조리원 컨설팅 사업은 각 분야의 전문가와 산후조리원이 함께 현장에서 예비평가를 시행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컨설팅하는 것"이라며 "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발적인 서비스 질 관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마련했다”고 말했다.
산후조리원 컨설팅 사업에는 현장의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해 감염·안전·돌봄 전문가와 한국산후조리업협회가 함께 참여한다.
산후조리원 컨설팅 제공과 각종 설명서(매뉴얼) 개발에는 한국모자보건학회와 병원신생아간호사회, 병원여성건강간호사회 등 감염·안전·돌봄 전문가가 참여했다.
또 산후조리원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한국산후조리업협회가 컨설팅 절차 전반에 자문위원으로 참여했으며, 컨설팅 현장지원, 홍보 등에 협조했다.
이번 산후조리원 컨설팅 사업은 올해 8월부터 50개 산후조리원 대상으로 감염·안전·돌봄 전문가와 산후조리업 운영자로 구성된 컨설턴트가 직접 산후조리원에 세 차례 현장 방문해 컨설팅을 수행한다.
1차 컨설팅에서는 산후조리원 평가기준에 따라 예비평가를 실시하고, 예비평가 결과 부족한 부분에 대해 현장과 협의해 향후 컨설팅 진행 내용을 계획한다.
2·3차 컨설팅에서는 1차 컨설팅 내용 이행여부를 중간·최종 점검해 실제 산후조리원 서비스 질 향상 여부를 평가한다.
산후조리원 대상으로 산후조리원 평가 기준에 대해 알리고, 컨설팅 참여를 높이기 위해 ‘2019 산후조리원 평가를 위한 컨설팅 사업설명회’를 23일 오후 1시부터 프레지던트 호텔 31층에서 진행한다.
산후조리원 평가기준 확인 및 컨설팅 신청은 육아정책연구소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컨설팅을 원하는 산후조리원은 신청서를 작성해 오는 31일까지 제출하면 된다.
고득영 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은 “이번 지원은 산후조리원 현장에 특화된 컨설팅 사업으로, 산후조리원 서비스 질 향상을 지원해 산모·신생아의 건강하고 안전한 산후조리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