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24/20190724114724311491.jpg)
역대 상반기 對서울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현황[자료= 서울시]
올해 상반기 서울시가 유치한 외국인직접투자(FDI) 실적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시는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실적이 신고 기준으로 50억4000만달러로 지난해 상반기 33억6000만달러 대비 50%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도착 기준으로도 역대 상반기 실적 최고 수치인 지난해 상반기 33억3000만달러보다 5% 증가한 35억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실적(신고 기준) 중 서울시(50억4000만 달러)가 전국(98억7000만 달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1%로 집계됐다. 불확실한 경제여건 속에서도 분야별 고른 성장과 신규투자, 증액투자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분야에서 고르게 증가했다. 제조업 분야는 전년 동기 대비 275%(올해 상반기 4억5000만 달러, 약 5303억원)가, 서비스업 분야는 전년 동기 대비 44%(올해 상반기 45억8000만 달러, 5조3975억원)가 각각 증가했다.
상반기 신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는 등의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미국, 싱가포르, 홍콩 등 각국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서비스 분야 기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됐다. 상반기에만 23억7000만 달러(약 2조7935억원)의 신규투자가 유치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7% 이상 크게 성장한 수치다.
기업 컨설팅, 벤처기업 투자, 숙박 관련 플랫폼 서비스 기업 등에 대한 신규투자가 이뤄졌다. 화장품과 소셜미디어 관련 신규투자도 이어지는 등 외국인 신규투자 양상이 최근 한류, 모바일 등과 연계된 새로운 서비스 분야로 다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차 산업혁명 분야와 정보통신 기반의 서비스업 창업기업 분야에 상반기에만 26억 달러(약 3조641억원)의 증액투자가 진행되는 등 외국인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다. 서울의 기술 기반 혁신기업들로 외국인 투자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소셜커머스, 공유주방, 음식 배달 서비스 등 정보통신 기반의 플랫폼 기업에 대한 증액투자 확대로 분석된다.
시는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도 신규·증액투자 유치 확대를 위해 중앙정부와 다각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또 해외 투자유치 설명회(IR)를 열고 투자유치 원스톱 헬프데스크인 '인베스트 서울'을 개설·운영하는 등 올해 하반기에도 외국인투자 유치에 정책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국내·외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서울경제의 혁신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외국인투자가 더욱 확대되고 강화될 수 있도록 투자처 발굴과 다변화 등 적극적인 투자유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