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경제장관 "韓 주장 허점많아 日 미디어 알아보고 보도해라"

  • 트위터 통해 한국주장 반박하며 언론 비판…수출규제 용어변경도 요구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문제를 놓고 한일 양국의 갈등이 깊어가는 가운데, 일본 관리들도 민감한 반응을 내놓고 있다. 특히 관련부서 중 하나인 세코 히로시게 경제산업상은 미디어의 용어사용과 보도내용 등까지 비판하고 나섰다.

세코 장관은 최근 트위터를 통해 한국 규제관리와 관련한 내용과 보도 등과 관련된 내용을 많이 올리고 있다.  24일에는 성윤모 산업통상부 장관의 일본의 화이트리스 한국 배제 관련 발언에 대해서도 지적하고 나섰다. 앞서 성 장관은 일본이 수출통제협의회가 개최되지 않았다고 해서 이를 수출통제 제도를 신뢰 훼손과 연관시킨 것은 비논리적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세코 장관은 "(일본의 여러차례 요청에도 불구하고) 국장급협의 일정을 연기한 것은 한국"이라면서 "상식적으로 (회담) 연기를 요청한 쪽이 다음 일정을 제안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면서 "일정을 미룬 것이 한국이면서 일본측의 새로운 일정 제안을 기다리고 있었다는 식으로 일본에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당국간 신뢰관계 차원에서 유감스러운 일이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처럼 한국측 주장에는 근거없는 점이 많다"면서 "일본 미디어는 이런 회견내용을 단순히 보도하지만 말고 정확하게 경제성의 전문가에게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보도하기를 바란다"라고 현지 언론들에게 요구하기도 했다. 

세코 경제산업상은 또 24일 NHK 등과 같은 미디어가 '수출규제'가 아닌 '수출관리'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반도체 소재에 대한 한국 수출품목을 규제가 '수출관리 체제의 재검토'라는 일본 정부 입장을 강조한 것이다.

세코 장관은 트위터를 통해 NHK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수출규제가 아닌 수출관리라는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NHK) 보도에서 (수출관리라는 표현이) 사용될까"라고 올렸다. 이런 트위터의 내용이 논란이 된 뒤 NHK는 실제로 '수출규제' 표현을 '수출관리'로 바꾸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일본의 6대 신문 매체 가운데 아사히, 마이니치, 니혼게이자이, 도쿄 등 4개 신문은 여전히 '수출규제'로 표현하고 있다. 보수성향인 요미우리신문은 '수출관리'로 용어를 바꾸었다.




 

[사진=세코 장관 트위터]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