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첫 북·미 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핵무기를 추가로 생산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25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와 김정은 회담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무기를 추가 생산한 것으로 보인다'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지난해 싱가포르에서 열린 6.12 1차 북·미 정상회담 후에도 북한은 핵무기와 대륙간탄도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를 계속 생산해 현재 12기의 핵무기를 추가 생산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WSJ은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DIA) 분석가들은 북한이 현재 총 20~60기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북한이 핵무기 12기를 생산할 수 있는 핵물질 확보를 바로 핵무기 생산으로 연결지은 것인지는 아직 확실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WSJ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핵무기 포기에 대한 희망을 갖게 했지만, 지난 1년간 전문가들이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다른 결론이 나왔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 1년간 북한 영변 핵시설과 산음동 미사일 시설에서 지속적인 활동이 포착됐다.
제니 타운 미국 싱크탱크 스팀슨 센터 연구원은 "영변 핵 시설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핵물질(우라늄) 농축과정에서 필요한 액화질소통으로 추정되는 용기와 이를 옮기는 트럭들이 원심분리기 건물에서 많이 포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원심분리기는 핵무기 제조에 필요한 우라늄 농축을 하는데 필수적인 장비다.
이어 타운 연구원은 겨울에 촬영한 위성사진을 인용해 "눈이 내려 다른 건물 지붕에는 눈이 쌓여있지만 원심분리기가 있는 건물에는 눈이 없다"면서 "이는 핵물질 농축과정이 진행되면서 열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한편, 북한은 한국시간 25일 오전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동해로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는 북한의 모든 탄도미사일 발사를 금지하고 있다.
25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와 김정은 회담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무기를 추가 생산한 것으로 보인다'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지난해 싱가포르에서 열린 6.12 1차 북·미 정상회담 후에도 북한은 핵무기와 대륙간탄도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를 계속 생산해 현재 12기의 핵무기를 추가 생산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WSJ은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DIA) 분석가들은 북한이 현재 총 20~60기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북한이 핵무기 12기를 생산할 수 있는 핵물질 확보를 바로 핵무기 생산으로 연결지은 것인지는 아직 확실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WSJ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핵무기 포기에 대한 희망을 갖게 했지만, 지난 1년간 전문가들이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다른 결론이 나왔다고 밝혔다.
제니 타운 미국 싱크탱크 스팀슨 센터 연구원은 "영변 핵 시설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핵물질(우라늄) 농축과정에서 필요한 액화질소통으로 추정되는 용기와 이를 옮기는 트럭들이 원심분리기 건물에서 많이 포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원심분리기는 핵무기 제조에 필요한 우라늄 농축을 하는데 필수적인 장비다.
이어 타운 연구원은 겨울에 촬영한 위성사진을 인용해 "눈이 내려 다른 건물 지붕에는 눈이 쌓여있지만 원심분리기가 있는 건물에는 눈이 없다"면서 "이는 핵물질 농축과정이 진행되면서 열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한편, 북한은 한국시간 25일 오전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동해로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는 북한의 모든 탄도미사일 발사를 금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