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렁이는 D램 가격에 "반도체 업계에도 OPEC 필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수정 기자
입력 2019-07-26 07:4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업계 예상치를 크게 벗어난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반도체 업체들에도 그들 나름의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팀 컬판은 전날 SK하이닉스 실적 발표 직후 '반도체 업체들에 그들의 OPEC이 필요한 이유'라는 제목의 칼럼을 실었다.

그는 "D램은 업체별로 제품에 큰 차이가 없고 거의 모든 제품에 들어가는 필수 원자재로 여겨진다"면서 "석유와 마찬가지로 수급에 따라 가격이 오르내린다"고 메모리 반도체의 특징을 설명했다.

이어 "(D램 업체들도) 둘러앉아 공급량을 협상해야 한다"며 석유 생산량을 조절하는 OPEC이 있듯 반도체 업계에도 비슷한 조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OPEC은 원유 가격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산유국 대표가 모여 결성한 협의체로 14개 국가가 시장 상황에 따라 생산량을 조절한다.

컬판은 특히 현재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43%), SK하이닉스(30%), 마이크론(23%) 등 '톱3' 업체가 95%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짚고 "그런데도 수급 안정성은 여전히 그들 손에서 벗어나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메모리 반도체는 수요처가 광범위하고, 생산에 걸리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수급 안정성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사용처가 석유처럼 다양하다 보니 대내외환경에 따른 수요 변동성이 크고, 특정 제품이 나오기까지 1∼2개월 이상 걸리는 탓에 시장 예측을 통한 생산량 조절이 어렵다는 것이다.

컬판은 이에 더해 "중국이 독자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D램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며 향후 "전 세계 D램 시장이 심각한 공급과잉에 직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중국 칭화유니그룹(淸華紫光)이 이달 D램 사업 진출을 공식화하며 업계에서는 수급 안정성이 더욱 악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왔다.

다만 반도체 업계에 OPEC과 같은 단체가 결성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분석이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2010년 5월 D램 가격 담합을 이유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각각 2060억원, 73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으며, 미국에서는 현재 '톱3' D램 업체에 대한 가격 담합 집단소송도 진행 중이다.

이밖에 중국 반독점 당국도 톱3 업체들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벌이고 있어 국제사회의 주목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