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지가 몰린 비수도권에서, 상대적으로 운전경험이 적은 10대가 낸 사고가 많았다.
26일 보험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3년간의 여름휴가철(매년 7월 20일∼8월 15일) 발생한 자동차보험사고를 분석한 결과 사고 건수는 평상시보다 3.7%, 피해자는 3.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사고는 0.4% 감소했지만, 비수도권에서는 사고가 5.6% 증가했다. 피해자 수로 보면 수도권에선 2.3% 줄고, 비수도권에선 8.3% 늘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26/20190726090802834134.jpg)
거가대로 천성IC 부근 교통사고 현장 [사진=연합뉴스]
10대(18∼19세) 운전자의 휴가철 하루 평균 사고 건수는 평상시보다 19.5% 증가했다. 20대 운전자가 낸 사고는 평소보다 3.7%, 30대 1.4%, 40대 3.4%, 50∼64세 4.4%, 65세 이상은 5.6%씩 많았다.
휴가철 사고 피해자도 저연령대에서 많이 늘었다. 10세 미만 피해자는 평상시 대비 29.2% 늘었고, 10대와 20대 피해자 역시 각각 23.7%와 8.1% 늘었다.
이는 휴가철 가족동반 여행의 증가로 어린이·청소년 자녀를 동승한 차량 운행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7∼8월엔 하루 최고기온이 1도 오를 때 평균 교통사고 발생 건수도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개발원은 "폭염으로 인한 수면장애·스트레스로 운전자의 주의력이 떨어질 수 있다"며 "도로 여건이 나빠지는 것도 사고 발생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