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료전지(주)와 동구연료전지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지난 6월19일 △민간조사위원회 구성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안전성 검증등에 합의하면서 사업진척의 실마리 찾았다.
이에 최근 사업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업체선정에 나서 국내 국책 연구기관 6곳에 안전 및 환경용역을 의뢰했다.
이중 한국과학기술원(KIST)만이 용역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했다.

비대위가 인천시 동구청에서 회의를 하고 있는 모습
KIST가 당초 수소연료전지 발전소가 안전성과 환경성을 확보했다는 연구용역결과서를 이미 발표했던 기관인데다 인천연료전지(주)가 개최한 ‘연료전지 바로알기’ 강연에서도 발표하는등 객관적인 공정성을 담보하기에는 부적격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를 극복하기위해 해외 연구기관중에서 용역업체를 선정할 경우 비용도 문제지만 거쳐야할 행정절차가 만만치 않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인천연료전지(주)와 비대위간 합의에 대한 결과물 도출이 지연되면서 늦어도 오는10월초 예정된 인천시 동구청의 굴착공사 심의 및 허가를 받아 공사를 진행하려던 인천연료전지(주)의 계산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관련 인천시관계자는 “현재 자신들이 원하는 연구기관을 복수로 선정해 동구와 인천시에 추천해 달라고 비대위에 요청한 상태”라며 “비대위와 합의한 사안인 만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