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반도체 업계, 발묶인 삼성·SK 맹추격…잇따라 기술·설비 투자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글로벌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앞다퉈 차세대 기술 및 설비 투자에 나서고 있다. 일본 정부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로 인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발이 묶인 사이 한국 업체들을 추격하겠다는 전략이다.

29일 업계 등에 따르면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는 최근 극자외선(EUV) 공정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에 나섰다.

TSMC는 남부 타이난(臺南)산업단지에 새로운 EUV 생산라인을 건설하는 한편 북부 신추(新竹)산업단지에 3나노 공정을 적용한 생산라인을 건설하기 위한 정부 인가를 획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TSMC는 5세대(5G) 이동통신용 반도체 생산을 위해 기존의 7나노와 5나노 생산능력도 확대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일본 도시바메모리 또한 최근 사명을 '키옥시아(Kioxia)'로 바꾸고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도시바메모리는 도쿄증시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글로벌 메모리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지난 2017년과 지난해 삼성전자에 반도체 매출 1위 자리를 내줬던 미국 인텔은 사물인터넷(IoT)과 모바일 프로세서 분야에서 꾸준히 투자를 확대하며 올들어 실적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

올 상반기에는 매출 326억 달러(약 38조5700억원)을 기록, 약 30조원으로 추정되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실적을 다시 추월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미국 마이크론과 브로드컴, 퀄컴,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등도 5G와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반도체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에 대비해 첨단 공정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