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청와대를 떠난 지 이틀 만에 '페이스북 정치'를 재개했다. 조 전 수석은 일본 정부를 비판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글을 연이어 게시하며 대일(對日)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를 두고 민간인 신분으로 돌아간 조 전 수석이 정치 활동에 본격 돌입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조 전 수석은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 언론 보도를 공유하며 '1993년 고노 관방장관 담화도 부정하고 있는 아베 정부'라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앞서 조 전 수석은 지난 13일 페이스북에 동학농민운동을 소재로 한 노래인 '죽창가'를 소개했다. 이어 22일까지 열흘간 페이스북에 44건의 게시물을 올린 후 야권을 비롯한 정치권의 비난이 거세지자 한일 갈등 관련 발언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조 전 수석은 청와대를 떠난 직후인 28일부터 페이스북에 5건의 게시물을 게시하며 아베 일본 정부에 대한 공격을 다시 개시했다.

[사진=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 페이스북 캡처]
특히 조 전 수석은 28일 오전 '2005년 민관공동위원회 백서의 주요 부분 소개'라는 글을 게시하고 백서 중 5가지 내용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조선일보(2019.7.17. 및 7.19. 기사)와 중앙일보(2019.7.18. 양삼승 변호사 인터뷰)는 참여정부의 민관공동위원회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으로 강제징용 문제를 끝냈던 것처럼 보도하였다. 이에 동 위원회의 ‘백서’ 주요 부분을 소개하오니, 널리 공유해주시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재차 말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러한 대한민국 정부 및 대법원 판결의 입장을 부정하고 매도하면서 '경제전쟁'을 도발했고, 한국의 일부 정치인과 언론은 이에 동조하면서 한국 정부와 법원을 비방하고 있다"며 "이 '경제전쟁', 외교와 협상으로 풀어야 한다. 그러나 주권침해는 결단코, 절대로 용인해서는 안 된다"고 피력했다.
조 전 수석은 같은 날 오후에는 '현 아베 정부가 뒤집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에 관한 2000년 이전까지 일본 정부의 입장'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며 "아베 정부는 이상의 과거 일본 정부의 입장을 뒤집고, 한국 대법원과 정부를 공격한다. 그런데 한국의 일부 정치인과 언론이 이에 동조한다"고 날을 세웠다.
아울러 강제징용 피해자의 개인청구권을 인정하는 2012년, 2018년 한국 대법원 판결을 공유하며 "일본 정부가 한국 대법원 판결이 틀렸다고 공격을 퍼부으며 한국의 '사법주권'을 모욕하는 것을 넘어, 이를 빌미로 ‘경제전쟁’을 도발했다"는 내용의 글을 연달아 올렸다.

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지난 22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