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규제 ‘독배’ 마신 日 정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 조치가 일본 소도시를 비롯한 관광업계에 타격을 주고 있다.

수출 규제 카드를 꺼내 들었던 일본의 조치는 오히려 반일감정을 극대화시켰고,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을 시작으로 일본 여행 보이콧까지 국민의 자발적 움직임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일본 정부 관광국(JNTO)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찾은 한국인 수는 753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일본 방문객 3119만2000명중 24.1%가 한국인이란 얘기다.

과거 엔저 현상까지 이어지면서 우리 국민은 일본 여행 시 전체 외래관광객의 13% 수준인 연간 54억원(한화 약 6조3600억원)을 지출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의 수출 규제 카드는 ‘불매 운동’과 ‘일본 여행 안가기’ 운동을 발동시켰고, 일본을 찾는 관광객이 크게 줄었다.

실제로 주요 여행사를 통해 일본 여행을 예약하는 여행객 수는 반토막이 났다. 한국의 저비용항공사(LCC)는 한국과 일본을 잇는 일부 항공편의 운항 중단을 결정하면서 일본 중소도시는 초긴장 상태다. 

홋카이도 신문은 최근 우리나라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일본 여행 금지 운동'의 심각성을 보도한 바 있다. 

홋카이도 신문은 "7월 초 일본 정부의 경제 보복에 반발하는 한국 국민의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홋카이도를 포함한 여행 상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한국 여행사에서 판매하는 일본 여행의 신규 예약자 수가 급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야마구치 요시노리 사가현지사는 기자회견까지 열고 "사가 공항의 한국 항공편은 지난해보다 10% 가까이 탑승률이 하락했다"며 "한국인 관광객 감소로 인해 현재 힘든 상황에 처해 있다"고 토로했다.

아사히신문도 유후인, 벳푸 등 온천이 있는 오이타현 소재 호텔과 전통 료칸 3곳에서만 무려 1100명분의 예약 취소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온천 여행은 우리나라 여행객이 선호하는 상품군 중 하나다. 

이와 관련, 여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일본의 섣부른 경제보복 조치는 오히려 스스로 '독배'를 마신 꼴이 됐다"며 "이미 경색될대로 경색된 한일관계가 풀린다고 해도 예전처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기 힘들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