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차 업체들의 국내 실적은 경제 보복이 가시화된 7월 이후, 급격히 가라앉는 모습을 보였다. 관세청이 집계한 지난달 1∼20일 완성차 수입 현황에서 일본차의 수입액은 전년 동기보다 32.3%나 감소했다. 신차 비교견적 구매 플랫폼 ‘겟차’의 집계에서도 지난달 1∼15일 일본 완성차 브랜드 유효견적(견적 후 구매상담까지 이어진 경우) 건수는 137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줄었다. 중고차 매매 서비스 업체 ‘헤이딜러’의 분석에서도 일본차 입찰 건수가 최근 한 달 사이 30% 가량 감소했다.
이는 국내 시장서 훨훨 날았던 올 상반기와는 대비되는 양상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1월~6월까지 일본계 브랜드는 하이브리드차를 중심으로 2만3850대를 팔며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일본이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을 단행한 이후,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 ‘일본차를 구매하지 말자’는 인식이 조성되고 있다”며 “일본 브랜드 입장에서는 위로 치고 올라갈 수 있는 가장 좋은 시기에 예상치 못한 악재를 만난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가장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브랜드는 닛산이다. 올 하반기 주력 차종인 ‘알티마’의 6세대 완전변경 모델을 선보이며, 빠른 성장을 노렸지만 급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렉서스 역시 국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es300’ 하이브리드 차량 흥행세에 제동이 걸렸다. 이외 토요타, 혼다, 인피니티 등도 상당 부분 타격을 입고 있다.
국내 및 독일차 브랜드들은 이 기회를 틈타 고객 수요를 흡수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진행 중이다. 현대·기아차는 소형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베뉴와 셀토스 출시 시점에 맞춰 체험 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벤츠 등 독일차 업체들은 할인공세를 퍼붓고 있다. E 클래스 등을 중심으로 10% 이상 할인 판매를 진행하고 있고, 폭스바겐도 아테온을 월 10만원대의 할부로 구매할 수 있는 금융프로그램을 선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