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는 2일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대상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이외에 여타 품목으로 확대됐다"며 "한국 기업들이 생산 공정에 필수적인 핵심 소재를 적시에 확보할 수 있을지에 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다만 "수출 통제가 단순히 행정적 차원의 소재 공급 지연에 그치면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이고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라며 "당사가 신용등급을 부여한 한국 기업은 대부분 핵심 소재 재고를 단기적으로 무리 없이 대처하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일본의 조치가 실질적인 수출 금지로 격화하지 않는 한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대부분 감당 가능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장기적으로는 일본산 소재 조달에 제약이 지속되면 한국 업체들이 해당 소재의 국산화율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철강, 석유화학, 정유 산업은 일부 원료와 중간재를 일본에서 수입하지만 주로 범용재에 해당해 일본 이외 지역에서 조달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