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정부는 우리에 대한 신뢰 결여와 안보상의 문제를 제기하는 나라와 과연 민감한 군사정보 공유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를 포함해, 종합적인 대응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지소미아를 공식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더불어민주당 또한 마찬가지다. 이해찬 대표는 앞서 지난 30일만 해도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본다"며 "종합적으로 감안해 신중하게 판단해야 될 문제"라고 했지만 이날은 입장이 바뀌었다.
이 대표는 비상연석회의에서 "동북아가 이렇게 신뢰 없는 관계를 갖고 지소미아가 과연 의미가 있나 그런 생각이 다시 든다"며 "저도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하겠다. 의미 없는 일에 연연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지소미아는 양국이 해마다 기한 90일 전에 폐기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자동으로 연장된다. 오는 24일이 만기일로, 그 전에 폐기하겠다는 의사를 한 쪽이 전달하면 폐기 된다.
야권은 경제와 안보를 연계시켜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자유한국당 소속 윤상현 외교통일위원장은 "미국은 계속 외교부를 통해 우리 정부에 절대로 교차오염을 시키지 말라고 한다"며 "즉, 경제문제를 안보영역까지 끌어들이지 말라는 게 미국의 입장"이라고 했다.
윤 위원장은 "우리가 계속 이런 식으로 교차오염을 시키면 미국이 한국을 신뢰할 수 없는 동맹이라며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며 "일본의 입장에선 이참에 한국을 배제하고 미일 동맹을 중심으로 동북아 안보질서를 다시 짜 1950년의 애치슨 라인처럼 제2의 애치슨 라인이 그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