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김 시장은 성명서를 내고 '우리정부의 노력에도 불구, 일본은 지난 7월 1일 반도체 핵심소재 수출 규제 조치한데 이어 수출심사 우대국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추가 경제 보복 조치를 강행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시장은 '자유공정무역을 표방하고 뒤에서는 경제 보복을 준비하는 일본 정부의 위선적인 행태는 지탄받아 마땅하다'며, '이는 일본이 스스로 가해자 임을 망각한 조치로, 우리나라의 경제도약을 가로막고, 경제·정치적 보복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시장은 '일본정부의 무역보복 행위에 대해 일본과 교류활동을 전면 재검토하고, 시 차원에서 대응할 수 있는 각종 노력을 전개해 나갈 것'을 거듭 천명했다.
그는 특히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는 그동안 우호적으로 지속해 온 양국 자치단체의 교류 노력에 반하는 결정으로, 일제 강제 침탈에 대한 반성 없이 경제침략으로 도발하는 아베 정권을 강력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조치로 적잖은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시민들이 함께 힘을 모은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일본정부의 진정한 사과와 경제보복조치가 철회될 때까지 일본제품 구매와 일본관광 자제 등 생활실천 운동을 적극 지지하고 동참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